영암 도갑사
Encyves Wiki
영암 도갑사 (靈巖 道岬寺) |
|
대표명칭 | 영암 도갑사 |
---|---|
한자 | 靈巖 道岬寺 |
주소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문화재 지정일 | 1984년 02월 29일 |
소유자 | 도갑사 |
관리자 | 도갑사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건립시기 | 신라시대 |
창건자 | 도선 |
경내문화재 | 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영암 도갑사 석조,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영암 도갑사 석장승,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
|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月出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의 말사이다.[1]
내용
신라 말기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도갑사 자리에는 먼저 문수사라는 절이 있었고 어린 시절을 문수사에서 보낸 도선이 나중에 그 터에 절을 다시 지은 후 도갑사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고려 때 크게 번창하여 전성기를 누렸다고 하며, 1457년(세조 3년) 수미대사(守眉大師)와 신미대사(信眉大師)가 중건하였다. 1473년(성종 4년)에 중수한 적이 있고 임진왜란 때 불탔으며 1776년(영조 52년)에 다시 중수했다. 근래에도 한국전쟁과 실화 등으로 여러 차례 화재를 입었다. 현재의 대웅전은 1980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지금은 해남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며 경내에 해탈문을 비롯하여 대웅전, 명부전, 미륵전과 요사채 등 건물이 있고 수미왕사비와 도선수미비, 석조여래좌상, 오층석탑과 석조 등이 있다.[2] 도갑사는 966칸의 드넓은 사찰로 1,000여 명의 승려가 수도생활을 하고 부속 암자의 숫자만도 열두 곳에 이르는 대사찰이었다. 숭유억불 정책으로 대부분의 사찰이 승려 없는 빈 터만을 남기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상황이니 당시 이곳의 규모와 그 영향력을 실감하게 만드는 이야기다.[3]
전해지는 이야기
-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 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4]
지식관계망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80년 | 도선이 도갑사를 창건하였다. |
1457년 | 수미가 도갑사를 중건하였다. |
1653년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가 세워졌다. |
1677년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가 세워졌다. |
1984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었다. |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암 도갑사 해탈문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석조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석장승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도선,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이경석, 이수인, 정두경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도선 | 영암 도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시각자료
영상
- kculturechannel, "월출산 도갑사(Dogapsa Temple)", YouTube, 게시일: 2013년 11월 27일. 2017년 4월 13일 확인.
주석
- ↑ 정병조, "도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도갑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도갑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병조, "도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