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일기 (해독)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산성일기 (해독)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
원문과 해석문
{{옛한글해독 |원문출전= |해석문출전= |원문1=산셩일긔 병 |원문2=만력십칠년긔츅구월의노라치란오랑로뇽호쟝군을이다 |원문3=노라치녀진국오랑니졔한아비와아비다다오랑난의죽고노라치동방으로라니 |원문4=븍녁모든오랑침노야긔세졈〃즁고 |원문5=잇다감노략한인을도로보여즁도의헌튱더니 |원문6=다오랑근오십등이싀합호노략고지휘뉴부죽이고건로라거 |원문7=노라치즉시근오십의머리버혀듕됴의드리고 |원문8=조흔말을공고졔한아비와아비듕국을위야병화의죽은곡졀&을알외여 |원문9=쟝일홈을어드니라
|해석문1=산성일기, 병자년 |해석문2=명나라는 1598년 9월에 만주족 누루하치에게 용호장군의 칭호를 내려주었다. |해석문3=누루하치는 여진의 오랑캐인데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아태의 난에 죽자 동쪽으로 달아났다. |해석문4=이후 북방의 모든 오랑캐들을 침략하여(통합하여?) 그 기세가 점점 강성해졌으며, |해석문5=때때로 사로잡은 명나라 사람들을 돌려보내서 명나라 황실에 충성심을 증명하였다. |해석문6=하부의 오랑캐 극오십이 시하보 지역에 침략하여 지휘사 유부를 죽인 후 길림성 지역으로 달아나자, |해석문7=누루하치가 즉시 극오십의 머리를 베어 명나라에 바쳤고, |해석문8=또한 좋은 말을 진상하면서 자신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아태의 난 때 명나라를 위하여 죽게 된 사연을 (황제에게) 아뢰었다. |해석문9=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누루하치는 건주위도독첨사라는 벼슬과 함께 용호장군의 칭호를 얻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