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Encyves Wiki
이창섭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2일 (일) 19:55 판 (시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용비어천가
한글팀 용비어천가.jpg
한자명칭 龍飛御天歌
영문명칭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the first work written in hangeul. A book introducing the works of 6 kings of Joseon, from Mokjo to Taejong, and the corresponding kings of China. It is composed of poems and annotations.
작자 권제 등 찬
간행시기 1445년 초간, 1659년(효종10) 중간본
소장처 국립한글박물관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4.5×22.5㎝
판본 목판본
수량 5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정의

조선의 목조(穆祖)부터 태종(太宗)까지 6대에 걸친 사적(事跡)과 그에 대응되는 중국 역대 제왕의 사적을 대구로 하여 읊은 시와 주석을 수록한 책이다.

내용

조선의 목조(穆祖)부터 태종(太宗)까지 6대에 걸친 사적(事跡)과 그에 대응되는 중국 역대 제왕의 사적을 대구로 하여 읊은 시와 주석을 수록한 책이다. 125장의 한글 가사와 그에 해당하는 한시(漢詩)를 본문으로 하고, 각 장마다 주해를 붙였다. 이 책은 조선의 건국이 천명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여 조선 건국의 정통성을 밝혔다. 임금이 되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으로 덕을 쌓아 천명을 받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후대 임금은 선조들이 이렇듯 어렵게 쌓아올린 공덕을 헛되이 무너뜨리지 말아야 할 것을 경계하고 있다. 본문에는 한문식 표현과 한자어가 많이 섞여 있어 현대어의 문체와 비슷하며, 약 450여 개 정도의 순수 고유어가 사용되었다. 『용비어천가』는 한글 창제 이후 간행된 최초의 한글 문헌으로 한글 사용의 가장 오래된 용례를 보여주며, 주해 속에 나오는 고유명사, 관직명의 한글표기는 국어사 연구의 소중한 자료이다.[1]

부연설명

『용비어천가』는 목판본 총 10권이 있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목판본이나 세종(世宗, 1418~1450) 시기 초간본은 활자본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판본으로는 『가람문고본』, 『일사문고본』, 『규장각본』이 있다. 원본에 가까운 것은 『가람문고본』이나 1~2권 밖에 없으며 『규장각본』도 후쇄본이어서 탈자와 탈 획이 많다. 이 밖에도 『세종실록』에 실린 『실록본』이 있으며 1612년(광해군, 4)에 간행된 『만력본』, 1659년(효종, 10)에 간행된 『순치본』, 1765년(영조, 41)에 간행된 『건륭본』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만력본』은 규장각도서의 『태백산본』과 『오대산본』 두 종류가 있다. 일제시대에 경성제국대학에서 『오대산본』을 저본으로 하여 기타 판본과 비교하고 수정 보완하여 영인한 일이 있었다.

『용비어천가』의 내용은 임금이 되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으로 오랫동안 덕을 쌓아야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대 왕들은 선왕의 유지를 받들어 공덕을 지키고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용비어천가』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진용비어천가전(進龍飛御天歌箋)」와 끄트머리에 실린 「용비어천가발(龍飛御天歌跋)」에 잘 나타나 있다. 첫머리 글에 따르면 권제(權踶), 정인지(鄭麟趾), 안지(安止) 등이 조선 군왕의 여섯 대 선조들의 행적을 125장의 노래로 읊었는데 이 때가 바로 1445년(세종, 27) 4월 이었다. 이때 지은 노래가 우리말로 되어 있고 거기에 한문시를 달아서 뜻을 풀이하였다. 그리고 끄트머리의 글을 보면 그 시기가 2년 후 1447년(세종, 29) 2월이다. 그 내용을 보면, 1445년에 권제, 정인지, 안지가 125장의 노래를 지어 올리니 세종이 기뻐하며 이름을 ‘용비어천가’라 지었다고 한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내용을 보면, 역사적 사실은 역사책에 있다고는 하나 사람들이 다 펴보기 어려우니 박팽년(朴彭年), 강희안(姜希顔), 신숙주(申叔舟), 이현로(李賢老), 성삼문(成三問), 이개(李塏), 신영손(辛永孫) 들에게 주해를 붙이게 하여 10권의 책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즉 이것을 다시 말하면 1445년에 노래 본문과 한시가 만들어졌고, 역사적 사실을 한문으로 기록된 것은 1447년에 완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가람문고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일사문고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규장각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실록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만력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1612
순치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1659
건륭본 용비어천가 판본이다 1765
태백산본 만력본 종류이다
오대산본 만력본 종류이다
권제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정인지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안지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박팽년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강희안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신숙주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이현로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성삼문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이개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신영손 용비어천가 편찬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45(세종, 27) 용비어천가 간행 제작을 시작하였다
1447(세종, 29) 용비어천가 간행을 완료했다
1612 용비어천가 만력본이 제작되었다
1659 용비어천가 순치본이 제작되었다
1765 용비어천가 건륭본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용비어천가 소장처 국립한글박물관 126.980956 37.521746

참고문헌

  • 웹자원
    1. 용비어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4월 2일 확인.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2. 용비어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4월 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