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병
월병(月餠) 중국의 명과(銘菓)로서, 음력 8월 15일 추석날밤 웨빙을 빚어 먼저 달에 바친 다음, 친척·친지들에게 추석찬품으로 선물한다. 위에삥(月饼)은 밀가루와 라드, 설탕, 달걀 등을 섞어 만든 피에 견과류 등의 소를 넣은 후 나무틀에 넣어 모양을 잡아서 구워낸 중국의 삥(饼, 떡)이다. 주원장은 반원세력과 연합하여 봉기를 할려고 하였다.당시 조정의 관리는 엄청 엄격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가 무척 힘들었다. 주원장의 군사 유백온(刘伯温)은 한가지 계책을 생각했다.8월15일 밤 봉기라는 쪽지를 적어 당시 먹던 떡속에 숨기라고 명령하였다.각지로 보내 봉기할 군사들에게 전해졌고 8월15일밤 봉기에 호응하라는 정보가 전달되었다. 대장군 서달(徐達)은 원나라 수도를 공격하여 함락시켰습니다.이 소식에 주원장은 기뻐하며 곧 있을 중추절에 군사들과 백성들이 즐거움을 만끽하라고 명령합니다.봉기때 비밀 서신을 전달한 떡을 월병(月餠)이라고 명명하였다.그리고 명절맞이 떡으로 월병(月餠)을 하사하였습니다.그 이후 지금까지 중추절에 먹는 명절 음식이 되었고 여러 종류의 월병(月餠)이 전해지고 있다
위에(月)는 “달”, 삥(饼)은 “떡”을 뜻하는 말로 위에삥(月饼)은 글자 그대로 “달 모양을 닮은 떡”을 말한다. 즉, 둥그런 달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기록에 의하면 위에삥(月饼)이라는 이름은 송나라(宋, 960~1279) 때 처음으로 등장한다. 당나라(唐, 618~907) 때는 중추절에 달을 감상하며 과일이나 완위에껑(玩月羹, 용안[桂圆], 연밥[莲子], 연근 가루[藕粉]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위에삥)을 먹는 것이 성행했지만 위에삥이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북송(北宋, 960~1127) 시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중추절에 보름달 모양의 음식이라는 위앤삥(圆饼)이 등장한다.
위앤삥의 속은 설탕이었는데 개봉(开封) 지역에서는 탕삥(糖饼), 절강성(浙江) 대주(台州), 온주(温州), 금화(金华) 등을 넣어 강남 지역에서는 마이삥(麦饼)이라 불렀다. 남송(南宋, 1127~1276) 시기에 이르러 탕삥(糖饼)은 속이 들어 있는 둥근 형태로 되었고, 둥그런 달 모양을 닮았다 하여 위에삥(月饼)이라 불려지게 되었다.
위에삥의 기원과 역사 고대 위에삥은 제사 음식으로 본래 중추절에 먹었는데, 점차 중추절뿐만 아니라 선물용으로 애용되었다. 중추절에 위에삥을 먹는 풍습은 당나라(唐, 618~907) 때부터인데, 『락중견문(洛中見聞)』에 당 희종(당나라 18대 황제 이현[李儇])이 어선방(御膳房, 황제의 식사를 준비하는 주방)에 중추절 당일에 삥(餅)을 만들어서 진사에 합격한 사람들에게 상으로 내리라고 명령하였다.
중추절에 달을 감상하며 과일이나 완위에껑(玩月羹, 용안[桂圆], 연밥[莲子], 연근가루[藕粉]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것)을 먹는 것이 성행했다고 한다. 북송(北宋, 960~1127) 때 이러한 삥(餅)은 꽁삥(宮餅)이라 불리며 궁정 내에서 퍼졌고 민간에까지 샤오삥(小餅)과 위에투안(月團)이라는 이름으로 전파되었다.
위에삥 밀가루와 라드, 설탕, 달걀 등을 섞어 만든 피에 각종 견과류 등의 소를 넣은 후 조각된 나무틀에 넣어 모양을 잡아서 구워낸 중국의 삥(떡)이다. 위에삥은 밀가루와 라드(돼지의 지방 조직을 정제하거나 녹여서 얻는 흰색의 고체 또는 반고체 지방), 설탕, 달걀 등을 섞어 만든 피에 각종 견과류(살구 씨, 호두, 땅콩, 참깨, 해바라기 씨) 등의 소를 넣은 후 문양이 조각된 나무틀에 모양을 잡아서 구워낸 보름달 모양의 삥(饼, 떡)이다.
위에삥은 고대부터 중추절에 제사 음식으로 먹던 것이 점차 중추절 음식일 뿐만 아니라 선물용 음식으로 변화하였다. 중추절의 둥근 달 모양처럼 위에삥도 둥글게 만들어 가족끼리 서로 나눠 먹는데, 이것은 온 가족의 모임, 화목을 상징한다.
위에삥의 어원 위에(月)는 “달”, 삥(饼)은 “떡”을 뜻하는 말로 위에삥(月饼)은 글자 그대로 “달 모양을 닮은 떡”을 말한다. 즉, 둥그런 달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기록에 의하면 위에삥(月饼)이라는 이름은 송나라(宋, 960~1279) 때 처음으로 등장한다. 당나라(唐, 618~907) 때는 중추절에 달을 감상하며 과일이나 완위에껑(玩月羹, 용안[桂圆], 연밥[莲子], 연근 가루[藕粉]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위에삥)을 먹는 것이 성행했지만 위에삥이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북송(北宋, 960~1127) 시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중추절에 보름달 모양의 음식이라는 위앤삥(圆饼)이 등장한다.
위앤삥의 속은 설탕이었는데 개봉(开封) 지역에서는 탕삥(糖饼), 절강성(浙江) 대주(台州), 온주(温州), 금화(金华) 등을 넣어 강남 지역에서는 마이삥(麦饼)이라 불렀다. 남송(南宋, 1127~1276) 시기에 이르러 탕삥(糖饼)은 속이 들어 있는 둥근 형태로 되었고, 둥그런 달 모양을 닮았다 하여 위에삥(月饼)이라 불려지게 되었다.
위에삥의 기원과 역사 고대 위에삥은 제사 음식으로 본래 중추절에 먹었는데, 점차 중추절뿐만 아니라 선물용으로 애용되었다. 중추절에 위에삥을 먹는 풍습은 당나라(唐, 618~907) 때부터인데, 『락중견문(洛中見聞)』에 당 희종(당나라 18대 황제 이현[李儇])이 어선방(御膳房, 황제의 식사를 준비하는 주방)에 중추절 당일에 삥(餅)을 만들어서 진사에 합격한 사람들에게 상으로 내리라고 명령하였다.
중추절에 달을 감상하며 과일이나 완위에껑(玩月羹, 용안[桂圆], 연밥[莲子], 연근가루[藕粉]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것)을 먹는 것이 성행했다고 한다. 북송(北宋, 960~1127) 때 이러한 삥(餅)은 꽁삥(宮餅)이라 불리며 궁정 내에서 퍼졌고 민간에까지 샤오삥(小餅)과 위에투안(月團)이라는 이름으로 전파되었다.
고대 위에삥은 제사 음식으로 중추절에 먹었는데, 점점 중추절뿐만 아니라 선물용으로도 애용된다. 북송(北宋, 960~1127)의 문학가 소동파(蘇東坡)는 “소병여작월, 중유소화이(小餅如嚼月, 中有酥和飴)”, “샤오삥은 달과 같고, 안에 우유와 엿(고소함과 달콤함)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말한 ‘샤오삥’은 바로 위에삥이다. 하지만 위에삥이라는 단어는 남송(南宋, 1127~1276) 시대 오자목(吳自牧)의 『몽량록(梦梁录)』에는 마름으로 만든 떡(菱花饼)과 같은 것인데, 후에 그 모양이 점차 동그랗게 변해 “가족이 다 모여 행복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다고 나온다.
또한 명나라(明, 1368~1644) 전여성(田汝成) 『서호유람기(西湖游览记)』에 “팔월십오위지중추, 민간이월병상궤, 취단원지의(八月十五谓之中秋, 民间以月饼相馈, 取团圆之意)”, 즉 “8월 15일을 중추라고 하는데, 민간에서는 서로 위에삥을 선물로 나눠주는 것으로 ‘가족이 다 모이다’라는 뜻을 취한다”라고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위에삥이 그 당시 민간에서도 유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청나라(清, 1636~1912) 때 위에삥을 만드는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한 서적을 보면, 양광보(杨光辅)는 “병포장도육함, 설고첨체자당상(饼饱装桃肉馅, 雪糕甜砌蔗糖霜)”(위에삥에 호두 소가 들어 있고, 눈처럼 흰 떡은 달고, 자당[사탕수수로 만든 설탕]은 서리 같다)라고 적고 있다.
반원 반청운동에 사용된 위에삥 샤오삥(위에삥)에 관해 전해오는 설에 따르면 원나라(元, 1271~1368) 때 한족들은 원나라 사람들의 통치하에서 고통이 심했다고 한다. 이에 주원장(朱元璋)이 무장봉기하여 반원(反元)운동을 펼치려 했지만 원나라 군사의 통제가 삼엄하여 의병들 간에 소식을 전할 수가 없었다.
유백온(刘伯温)은 중추절에 이웃 간에 샤오삥을 전하는 풍습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샤오삥 안에 ‘8월 15일 달로(鞑虏/鞑子, 한족이 만주족이나 몽고인을 폄하하여 가리키는 말)를 죽이자’라는 쪽지를 써 넣어 반원운동에 뜻있는 사람들에게 소식을 전하며 봉기의 신호로 삼았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청나라 때 한족들이 남의 이목을 피하며 반청운동을 시도하기 위해서 위에삥을 사용했다고 한다. 즉 위에삥 속에 쪽지를 써 넣은 후, 종이 가방 안에 위에삥을 넣어 상대방에게 전해주며 반청복명(反青复明)운동의 준비를 알렸다는 것이다.
위에삥의 지역적 분포 위에삥은 종치우삥(中秋饼)이라고도 하는데 중국 전 지역, 월남, 유구열도(流球列島, 일본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중추절 음식이다. 월남에서는 삥종치우(餅中秋, bánh trung thu, 바잉 쭝 투)라고 한다.
중국 본토의 전통 위에삥은 생산지, 판매량, 특색에 따라 크게 광동식, 북경식, 소주식, 광동 차오샨식(潮汕,광동의 3대 한족 군락지 중 하나) 등 네 가지로 분류된다.
그 밖에도 차오샨식과 홍콩식을 광동식에 포함하여 광동식, 소주식, 북경식, 띠엔식(滇式, 운남, 귀주 일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홍콩식과 광동식은 비슷하지만 차오샨식은 재료, 만드는 법, 모양, 맛 등이 광동식과는 큰 차이가 있다. 요즘은 특징보다는 지역에 따라 북경식, 광동식, 차오샨식, 소주식, 대만(台湾)식, 띠엔식, 홍콩식, 안휘(安徽)식 등으로 구분한다.
위에삥의 종류 중국식 위에삥은 광동식, 북경식, 소주식으로 구분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 외에도 지역에 따른 재료를 특징으로 하여 운남(云南)의 소시지 위에삥, 강서(江西)의 양파고추 위에삥, 호남(湖南)의 바삭한 위에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즘은 위에삥의 종류가 보다 다양하게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서양식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위에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