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경16관변상도

Encyves Wiki
Jwseo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9월 27일 (화) 08:11 판 (새 문서: 관경16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 이 불화는 제작연대, 시주자, 만들게 된 동기가 뚜렷할 뿐만 아니라 1관∼16관에 모두 명문이 있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경16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

이 불화는 제작연대, 시주자, 만들게 된 동기가 뚜렷할 뿐만 아니라 1관∼16관에 모두 명문이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먼저 각 관이 사각형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조화롭다. 상부와 중앙부에는 1관에서부터 13관까지, 하단부에는 상배관인 14관이, 양 가장자리에는 15관인 중배관과 16관인 하배관을 배치하고 있어 사이후쿠지[西福寺] 소장의 관경16관변상도와는 구도에서부터 차이가 난다. 이러한 구성의 관경16관변상도는 고려말∼조선초에 유행하였다.

아미타극락회의 아미타불좌상은 머리에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장식되어 있는데, 엄지와 중지를 맞댄 왼손의 위치는 매우 암시적이다. 왜냐하면 불상의 수인(手印)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갈수록 가슴에서 배를 향해 점차 아래로 내려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승각기를 묶는 장식이 보이는 등 안정감이 넘치는 형태 묘사는 14세기 전반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화려한 채색 위로 덧그려진 금니의 선묘는 섬세하고 단정하며 유려하다. 붉은색과 부드러운 녹색, 청색에 가까운 감색·갈색, 옥색에 가까운 흰색 등 밝은 색조가 옅은 녹색을 배경으로 전면에 깔린 것은 사이후쿠지 소장 관경16관변상도와 비슷하다. 각각의 형태는 문양으로 채워지고 배경 구실을 하는 1관∼7관이 부각되었다. 붉은 해는 화면 중앙 꼭대기를 장엄하여 마치 극락을 비추는 듯하며(제1일몰관(日沒觀)), 이 아래 물(제2수관(水觀))과 금줄로 엮인 녹색의 극락땅(제3지관(地觀)), 일렬로 늘어선 보수(寶樹, 제4수관(樹觀)), 학·공작·앵무새·가릉빈가 등 극락조(極樂鳥)로 채워진 극락의 연못(제5지관(池觀)⑥)과 아미타전각의 화려함(제6총관(摠觀)), 보개(寶蓋)를 갖춘 대좌(臺座, 제7화좌관(華座觀)), 외연대를 장식하는 보수와 당(幢)도 섬세하다. 화면 중심축에 세 번 나타난 아미타삼존불 [(1)제8상관(像觀) (2)제9불색신관(佛色身觀)·제10관세음관(觀世音觀)·제11대세지관(大勢至觀) (3)제13잡상관(雜想觀)] 중 제9불색신관(佛色身觀)·제10관세음관(觀世音觀)·제11대세지관(大勢至觀)이 아미타극락회(阿彌陀極樂會)의 설법하는 아미타삼존불좌상임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14관∼16관(구품연못 ①②③)은 아미타불일행과 왕생자로 귀결된다.

이상과 같은 1관~16관의 명문(도면) 외, 붉은 바탕에 은니로 쓴 화기에는 "임종시 아미타불을 만나뵈어 극락왕생하기를 원하며, 이 공덕이 누구에게나 두루 미처 모든 중생이 다함께 불도를 이루기를 기원한다"고 쓰여 있는데, 이는 관경16관변상도가 조성된 배경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구실을 한다. 이어 1323년 4월에, 내시(內侍) 서지만 등 5명이 발원하고, 강원도 낙산(落山)의 비구와 비구니 등 승려 10명(남자 2, 여자 8), 경기(京畿)의 4명(남자 2, 여자 2), 중도(中道)의 호장(戶長) 박영견(朴永堅) 등 8명(남자 4, 여자 4)이 참가하였으며, 양주(楊州)의 향도(香徒)들이 시주하였다. 이는 고려시대 아미타 신앙의 대중화를 말해주는 중요한 내용이다.


14세기 전반 경 활동한 화가이다. 1323년 일본린쇼지(隣松寺) 소장 <관경십육관변상도>를 그린 화가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의 화기를 보면, 서지만(徐智滿) · 심환(心幻) · 지탁(智鐸) · 성원(性圓) 등이 주축이 되어 발원하였고, 그 외에 20여명 이상의 향도(香徒)가 동참하였음을 알 수 있다. 1관부터 16관이 모두 묘사된 린쇼지(隣松寺)소장 <관경십육관변상도>본을 통해 볼 때, 서지만의 화풍은 적색(朱)의 사용에 적극적이고 그 외에 군청 · 녹청 · 백색 안료를 적절히 배색하였으며, 윤곽선을 비교적 뚜렷하게 그리는 편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데 서지만은 직급이 내시(內侍)이고 더구나 화기를 수정한 흔적이 뚜렷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현재로서는 화승으로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