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석굴암 본존불

Encyves Wiki
민족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7일 (수) 00:12 판 (가상현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석굴암 본존불
(慶州 石窟庵 本尊佛)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석굴암 본존불
한자표기 慶州 石窟庵 本尊佛
이칭 석굴암 본존불, 석굴암 본존불상
유형 불상
시대 신라
소장처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873-243
관련인물 김대성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석굴암 석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이다.

내용

석굴의 구조와 조각상

경주 석굴암 석굴의 기본적인 평면구조는 전방후원(前方後圓)의 형태를 취하면서 네모난 공간의 전실(前室)과 원형의 주실(主室)로 나뉘어져 있다. 주실에는 단독의 원각(圓刻) 본존상(本尊像)을 비롯하여 보살과 제자상 등이 있으며, 전실에는 인왕상(仁王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 등을 부조(浮彫)하여 배치하였다.[1]
조각상의 배치는 좌우가 대칭을 이루고 있는데 가장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본존여래좌상으로 이 석굴 자체가 본존상을 봉안하기 위하여 조영되었던 만큼 그 의미가 매우 큰 불상이다.[2]

의심 없던 정설, 석가모니불

여기서 한 가지 논란이 되는 것은 본존불의 명칭이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3]은 선정에 든 상태에서 오른손을 풀어 검지로 땅을 가리키는 형태로, 이 수인은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서 성도할 때 지신(地神)을 깨우쳐 자신의 성도(成道)를 증명하게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4],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이 본존불이 경전에 나타나는 어느 부처님을 표현하는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대체로 이 불상이 석가모니불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야기하는 견해에 익숙해져 있었다.[5]

아미타불이라는 근거

그러나 19세기 말엽 중수 당시의 현판(懸板)에 미타굴(彌陀窟)이라는 기록이 있었고,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편액(扁額)에도 수광전(壽光殿)이라는 표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분명히 '무량수(無量壽)·무량광(無量光)'을 뜻하는 수광(壽光)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모시면 대웅전이라고 하고, 아미타불이면 수광전, 극락전,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 한다. 이 같은 자료는 본존상의 명호를 석가여래 아닌 아미타불(阿彌陀佛)로 봐야 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이다.[6]
또한 신라시대는 의상대사가 세운 신라화엄종이 보편적이었는데 이 때 지어진 많은 사찰에서 화엄종의 주불인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다. 특히 통일신라 불상의 일부에서 석가모니불이 아닌 경우에도 우견편단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는 점도 본존상의 명호를 밝히는 데 한 근거가 된다. 이는 영주(榮州)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 無量壽殿)에 안치된 본존상이나 군위(軍威) 팔공산(八公山)의 석존 본존상 등 같은 양식의 불상에서도 분명히 입증되고 있다.[7]

신라인의 정토신앙

한편, 김대성이 현세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세우고 전세 부모를 위해 석굴암을 세웠다는 창건 유래 역시 미타정토(彌陀淨土)를 표현한 것으로, 동해구(東海口)의 유적과도 연관되고 있다. 이상의 여러 관점에서 석굴암 본존상의 명호는 마땅히 신라인의 정토신앙을 기반으로 한 아미타불이며, 왕족의 발원에 의해 이루어진 거국적인 불사(佛事)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경주 석굴암 석굴 김대성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경주 석굴암 본존불 항마촉지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주 석굴암 본존불 아미타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미타불 정토신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석굴암",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석굴암",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불교에서 석존5인(釋尊五印) 중 하나이다. 항마인(降魔印), 촉지인(觸地印)이라고도 한다. 모든 악마를 굴복시켜 없애버리는 모습으로, 형태는 결가부좌한 채 선정인(禪定印)에서 오른손을 풀어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 끝을 가볍게 땅에 댄 것이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해서 배꼽 앞에 놓은 선정인 그대로이다."항마촉지인",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허균, "경주 석굴암석굴 ② - 감은 듯 뜬 듯한 '三昧의 눈' 깨달음의 열락 전신에 가득", 『불교신문』, 2006년 09월 20일.
  5. 이기영 "경주 석굴암 석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석굴암", 『doopedia』online, 두산백과.
  7. "석굴암", 『doopedia』online, 두산백과.
  8. "석굴암", 『doopedia』online, 두산백과.
  9.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0.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1.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2.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3.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이기영 "경주 석굴암 석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석굴암",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김봉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경주 석굴암" ,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강우방·곽동석·민병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경주 석굴암" ,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전연구사,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석굴암석굴", 종교학대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석굴암", 실크로드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허균, "경주 석굴암석굴 ② - 감은 듯 뜬 듯한 '三昧의 눈' 깨달음의 열락 전신에 가득", 『불교신문』, 2006년 09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