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렬
정영렬(鄭永烈) | |
대표명칭 | 정영렬 |
---|---|
한자표기 | 鄭永烈 |
영문명칭 | Jung Yung-yul |
생몰년 | 1934년 4월 25일-1988년 1월 22일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화가 |
목차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내용
전라남도 광주에서 출생하였으며 1958년에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30여년 동안 중앙대 회화과에서 후학을 가르쳤다. 1968년 문교부 문예상을 수상하였으며, 1975년 프랑스 칸 국제회화제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다.
초기 작품세계
대학을 졸업한 1950년대 말 당시 젊은 작가들에 의해 새롭게 불어 닥친 추상표현주의 운동인 앵포르멜(Informel)에 가담했다. 1960년대 들어 ‘악뛰엘’, ‘현대미술가협회’ 등 추상미술 그룹에서 활동하면서 파리비엔날레, 상파울로비엔날레 등 국제전에 참여하는 등 국제적인 추상미술을 수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기의 격정적인 표현주의적 화풍은 점차 기하학적인 구성과 밝은 색채에 의한 소위 차가운 추상의 형식을 띠게 되었다.
1970년대 이후
자신의 회화양식을 추구해 나가기 시작한 1970년대에는 동양적인 사유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와 미술에 바탕을 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것을 색채와 선의 연속적인 결로 표현한 옵티컬아트 형식의 작품 제작을 거치면서 그는 미술계의 유행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후반부터는 열반을 뜻하는 <적멸> 연작을 통해 불교적인 사유를 형상화하면서 한국적인 추상미술을 향한 실험을 지속하였다. 이들 작품은 단일한 색조에 의한 반복적인 패턴의 구사를 통해 정신적인 파장과 음율감을 형상화한 것으로 절제된 동양적인 정신성을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이후
1980년대 이후로는 한지를 사용한 작업을 전개하여 재료가 가진 고유의 물성과 제작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형상에 주목하는 작품으로의 전이를 보여주었다. 이 작업은 우리나라 추상회화의 매체와 표현에 다양성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작품은 점차 한지의 재료인 닥을 대상으로 작가의 행위의 흔적을 남기는 격렬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품들은 지속적인 실험과 변화를 통해 미술계의 경향을 추종하지 않는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추구한 작가로 그를 평가하게 한다.
학력
- 1958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학사
- 콜롬비아대학교 미주리교 대학원 미술 박사
경력
-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한국미술협회 이사, 부이사장
- 서라벌예술대학, 중앙대학교 교수
전시
- 1959-1968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 미술관
- 1962 국제자유초대전, 동경
- 1965 제4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 1967 제9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상파울로
- 1970 제2회 까뉴국제회화제, 까뉴
- 1974-1979 앙데팡당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5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까뉴. 제3회 인도트리엔날레, 뉴델리
- 1977-1979 에꼴 드 서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 한국현대미술 20년의 동향,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82 한국종이의 조형전: 한국과 일본,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현대회화 70년대의 흐름, 워커힐미술관
- 1989 한국현대미술 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4 현산문화상 수상작가초대전, 광주
- 1995 유작전, 워커힐미술관
- 2000 한국현대미술의 시원, 국립현대미술관
- 2014 기증작가특별-적멸의 화가 정영렬,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68 5월문예상 장려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정영렬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정영렬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 정영렬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영렬 | 앵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현대미술가협회 | 정영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한국미술협회 | 정영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정영렬 | 홍익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영렬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영렬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영렬 | 추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작품78, 1978, 캔버스에 유채, 162x130.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
적멸, 1983경, 닥지에 채색, 182x27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
적멸 78-3, 1978, 패널 위에 한지․혼합기법, 130.4x16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적멸 78, 1978, 닥지에 아크릴릭, 194x31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4]
영상
주석
- ↑ "작품7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적멸",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적멸 78-3",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적멸 7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정영렬, 『죽음보다 더한 아픔』, 사사연, 1988.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70 정영렬, 금성출판사, 1982.
- 『정영렬 : 1959-1986, 워커힐미술관』, 1995.
- 『기증작가 특별전-적멸의 화가, 정영렬』, 국립현대미술관, 2014.
유용한 정보
- "정영렬", 인명록,
『월간미술』online . - "적멸(寂滅)의 세계를 찾아서 II",외부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