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형구

Encyves Wiki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3일 (토) 22:58 판 (작품세계)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형구(金亨球)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김형구
한자표기 金亨球
영문명칭 Kim Hyung-koo
생몰년 1922년-2015년 8월 6일
출생지 함경남도 함흥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내용

개요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난 김형구는 누이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가 데이고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를 수료하였다. 재학중 태평양전쟁에 학도병으로 징집되기도 했으며 한국전쟁 중 월남하여 종군화가로 활동하였다. 제국미술학교 동문들의 모임인 백우회를 비롯하여 목우회신미술회구상회화 계열의 단체에서의 활동과 전시를 통해 폭넓을 작품활동을 펼쳤다.

작품세계

김형구는 '미의 본질은 사물이 가진 원초적인 신비를 색이나 형을 통해 추구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는 ‘보이지 않는 것은 그리지 않는다’는 고전적인 자연주의 회화 이념에 충실한 자세로 인물을 포함한 풍경을 소재로 사실적인 화풍을 견지하였다. 감각과 정념에 경도되지 않고 대상을 관찰하여 얻은 시각적 진실을 화면 위에 재현해내는 것을 회화의 역할로 보았던 것이다. 그가 그린 인물들 다수가 자신 주변의 사람들이며 풍경 또한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서 포착한 경우가 많은 것도 미술에 대한 그의 신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가 그린 인물들이나 한적한 시골 마을, 그리고 고요한 도시의 풍경들은 감성적이거나 역동적이기보다 평온하고 명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그의 그림들에 재현된 정경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자연과 세계의 아름다움을 침묵의 고요 속에서 차분하게 느끼도록 한다. 이러한 그의 작풍은 두 차례에 걸친 전쟁 참여를 통해 얻은 생명 존중과 자연에 대한 애정, 그리고 종교적인 신념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학력

경력

전시

  • 1954-61 백우회전
  • 1957 세계카톨릭미술인전, 바티칸
  • 1958-72 목우회전
  • 1970 한국현역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71-90 서울카톨릭미술협회전
  •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현대미술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대만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81 서양화가가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 한국현대성화전, 로마 산마르코 화랑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 1999 한국미술 99-인간, 자연, 사물, 국립현대미술관
  • 2005 이동훈미술상 수상기념 김형구전,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연 29회 출품, 입선 4회, 특선 3회
  • 1985 국민훈장 동백장
  • 1992 한국문화예술협회 예술문화상 공로상
  • 1996 옥관문화훈장
  • 2004 제2회 이동훈미술상
  • 2005 제10회 가톨릭미술상 특별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형구-한산대첩 김형구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형구-고리원자력발전소 김형구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형구 월남작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목우회 김종하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백우회 김형구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신미술회 김형구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한국미술가협회 김형구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종군화가단 김형구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김형구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형구 구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형구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형구 데이고쿠 미술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형구 가와바타 미술학교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하루의 정오",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명사",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교실의 일우", 미술작가500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김형구, 『세계의 미술-르동』, 서문당, 1982.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74 김형구, 금성출판사, 1977.
    • 『김형구화집』, 김형구화집발간위원회, 1985.
    • 『김형구』, 대전시립미술관, 2005.

유용한 정보

  1. "김형구", 인명록, 『월간미술』online.
  2. "원로 서양화가 김형구씨 별세", 『한겨레신문』, 작성일: 2015년 8월 7일.
  3. 김형구, "한국예술총집(韓國藝術總集) 미술편(美術篇)Ⅲ", 작품 평론, 『한국예술총집』online, 대한민국예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