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사서

Encyves Wiki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20:19 판 (각 권의 내용 설명)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사서, 여사서 언해
한글팀 여사서 표지.jpg
한자명칭 女四書
영문명칭 A copied version of some part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Yeosaseo (Four Books for Women) for the education of royal women.
작자 이덕수
간행시기 19세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100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2.0×17.8㎝
판본 필사본
수량 1첩
표기문자 한글


정의

1736년(조선 영조12)에 간행한 『여사서』 중 왕실 여성의 교육을 위해 언해 부분만 일부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영조는 홍문관 제학 이덕수에게 『여사서』를 언해하도록 명하여 간행하였다. '여사서'라는 제목은 사대부 남성의 필독서인 '사서(四書:논어, 맹자, 대학, 중용)'에 상대되는 말로, 여성이 반드시 읽어야 할 네 권의 책이라는 의미이다. 청나라 왕진승(王晉升)은 여성이 읽어야 할 책으로, 후한(後漢) 조대가(曹大家)의 『여계(女戒)』, 당나라 송약소(宋若昭)의 『여논어(女論語)』, 명나라 인효문황후(仁孝文皇后)의 『내훈(內訓)』, 명나라 강녕유씨(江寧劉氏)의 『여범(女範)』 등을 편집하여 4권 3책의 『여사서』를 편찬하였다. 언해 순서는 『여계』, 『여논어』, 『내훈』, 『여범』 순으로 하였다. 언해 방식은 원문에 독음과 구결을 단 후에 한 칸 낮추어 언해를 첨부하였다. 언해는 정자체로 썼다. 『여계』, 『여논어』는 궁체 흘림으로, 『내훈』은 반흘림이 섞인 궁체 흘림으로 쓰였다. 이 필사본은 한글 서체연구 자료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온전한 궁체로 쓴 것으로 보아 왕실 여성의 교훈서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1737년 간행본 『여사서』 4권 3책에서는 1~3권의 한글부분만 흘림체로 필사하였다. 이 외에도 4권 2책의 1907년 간행본 『여사서』가 있는데, 이는 박만환(朴晩煥)이 국문으로 번역한 뒤 송병순(宋秉珣, 1839~1912)이 서문을 쓰고 전우(田愚)가 발문을 적은 것이다. [1]

각 권의 내용 설명

각 권의 내용을 보면, 『여계』는 여자가 자라서 출가하여 시부모와 남편을 섬기고, 시가와의 화목을 위하여 여자로서 하여야 할 일체의 몸가짐 등을 서술한 것으로, 비약(卑弱)·부부(夫婦)·경순(敬順)·부행(婦行)·전심(專心)·곡종(曲從)·화숙매(和叔妹) 등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논어』는 여성들에게 가사, 대인관계, 윗사람 섬기는 일, 순종,정조 등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입신(立身)·학작(學作)·학례(學禮)·조기(早起)·사부모(事父母)·사구고(事舅姑)·사부(事夫)·훈남녀(訓男女)·영가(營家)·대객(待客)·화유(和柔)·수절(守節) 등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훈』은 언행·효친·혼례·부신(夫娠)·모의(母儀)·돈목(敦睦)·염검(廉儉)·적선(積善)·천선(遷善)·숭성(崇聖)·경현범(景賢範)·사부모·사군(事君)·사아고(事兒姑)·봉제사(奉祭祀)·모의·목친(睦親)·자공(慈功)·체하(逮下)·대외척(待外戚) 등 2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범』은 본래 『여범첩록(女範捷錄)』인데 보통 줄여서 『여범』으로 통칭한다. 『여범』의 통론편은 대표적인 유가여성교육론이다. 음양의 이치에 따라 남자와 여자의 근본과 도리를 설명한 뒤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이에 따라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1974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한 바 있다.[2]

지식 관계망

  • 여사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여사서 여사서 편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조 여사서 편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사서 여사서(1907)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조 이덕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계 왕진승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왕진승 여논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왕진승 내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왕진승 여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송병순 여사서(1907)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사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여사서(1907) 전우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여사서 박만환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여사서 이덕수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여사서 이덕수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여사서(1907) 아세아문화사 A는 B에 의해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여사서 여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여사서 여논어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여사서 내훈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여사서 여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여계 조대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여논어 송약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내훈 인효문황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여범 강녕유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세기 여사서가 작성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여사서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80쪽.
  2. 손인수, "여사서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저서
    • 왕상·이덕수·이상규·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여사서언해. 권1·2·3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4
    • 남광우, 『(報告書)大古語辭典 出刊을 위한 資料硏究』,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78.
    • 東喬 閔泰植 博士 古稀記念論叢發刊委員會, 『儒敎學論叢: 東喬閔泰植博士 古稀記念 』, 東喬 閔泰植 博士 古稀記念論叢發刊委員會, 1972.
  • 논문
    • 남광우, 「女四書硏究 : 近世語硏究의 一環作業으로」, 『국어국문학』76, 국어국문학회, 1977. 74-7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