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권수정혜결사문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5일 (일) 21:5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
조용길, "권수정혜결사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권수정혜결사문
한자표기 勸修定慧結社文
편자 지눌(知訥)
저술시기 1190년
시대 고려
수량 1권 1책



정의

1190년 고려 중기 승려 지눌(知訥)이 지은 책.

내용

제작 배경

지눌은 1182년 정월, 개성 보제사(普濟寺)의 담선법회(談禪法會)에 참여하여 승려 열 명 가량과 함께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산 속에 들어가 선정과 지혜를 닦자고 결의한 뒤, 1190년에 팔공산 거조사(居祖寺)에서 결사를 시작할 때 이 글을 지었다.[1]

내용

권두에는 서문에 해당하는 글이 있고, 다음에 여섯 차례의 문답을 통해 선정과 지혜를 닦아야 하는 이유 및 수행하는 이들이 갖기 쉬운 의문을 풀어주고 있다. 서(序)에서는 “한 마음 미혹하여 가없는 번뇌를 일으키는 이는 중생이요, 한 마음 깨달아 가없는 묘한 작용을 일으키는 이가 부처”라고 정의하였고, 마음을 떠나서는 부처가 될 수 없음을 밝혔다. 그리고 불교의 모든 가르침이 모든 인연을 쉬고 마음을 비워서 가만히 합하고 밖에서 도를 구하지 않아야 하며, 마음을 허공처럼 맑게 하는 데 있다고 정의하고, 수행인들이 마음을 밝히는 일보다는 자기 이익만을 탐하고 헛되이 의식을 허비하는 현실을 개탄하였다.[2]

서지정보

이 책의 초간본은 전하지 않으며, 현존하는 것은 1608년(광해군 41)에 학명(學明)이 써서 송광사에서 간행한 것과 1635년(인조 13)의 운주산 용장사본(龍藏寺本), 1681년(숙종 7)의 울산 운흥사본(雲興寺本), 1860년(철종 11)의 천마산 봉인사본(奉印寺本) 등이 있으며, 현대본도 10여 종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권수정혜결사문 지눌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권수정혜결사문 순천 송광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권수정혜결사문 영천 거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주석

  1. 조용길, "권수정혜결사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용길, "권수정혜결사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조용길, "권수정혜결사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