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청
Encyves Wiki
김범청(金範淸) | |
대표명칭 | 김범청 |
---|---|
한자표기 | 金範淸 |
영문명칭 | Kim Beom-cheong |
생몰년 | ?-? |
자녀 | 무염(無染) |
정의
신라 하대의 귀족.
내용
태종 무열왕의 7대손으로, 낭혜화상(朗慧和尙) 무염(無染)의 아버지다. 증조부 때까지만 해도 장상(將相)을 역임한 귀족가문이었지만, 아버지 때에 와서 진골 관등의 최하위인 대아찬(大阿飡)으로 떨어졌고, 자신에 이르러서는 육두품으로 강등되었다.[1]
그의 족강(族降)은 왕위쟁탈전과 관련한 것으로 여겨진다. 즉 무열왕계의 마지막 임금인 혜공왕이 내물왕계인 선덕왕에게 시해되자, 무열왕의 직계손인 김헌창(金憲昌)이 이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는데, 범청이 그 난에 동조했기 때문에 취해진 것으로 보인다.[2]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葆光塔碑)에 실려 있는 범청과 관련한 득난(得難) 등의 기록은 족강에 관한 신라 사회 최초의 기사로 알려져 있다.[3]
(대사의) 법호(法號)는 무염(無染)으로 달마대사의 10대 법손(法孫)이 된다. 속성(俗姓)은 김씨(金氏)로 태종무열왕이 8대조이시다. 할아버지는 주천(周川)으로 골품(骨品)은 진골이고 한찬(韓粲)[4]을 지냈으며, 고조부와 증조부는 모두 조정에서는 재상, 나가서는 장수를 지내 집집에 널리 알려졌다. 아버지는 범청(範淸)으로 골품이 진골에서 한 등급 떨어져서 득난(得難)[5]이 되었다. | ||
출처: 최연식,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범청 | 무염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성주산문 | 무염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신라 태종무열왕 | 김범청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김범청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김범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복순, "김범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복순, "김범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라시대의 5관등 대아찬. "득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라시대 신분계층의 하나. 일반적으로 신라 골품제에서 득난을 육두품의 별칭으로 이해하고 있다. "득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복순, "김범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범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선사들의 신분과 단월세력", 신편한국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