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지천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0일 (일) 16:14 판 (관련항목)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천(智泉)
BHST Monk1.png
대표명칭 지천
한자 智泉
생몰년 1324년(충숙왕 11)-1395년(태조 4)
시호 정지(正智)
축원(竺源)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황해도 재령
승탑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승탑비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지천은 1324년(충숙왕 11) 황해도 재령에서 아버지 연(延)과 어머니 윤씨(尹氏) 사이에서 태어났다.[1]

Quote-left.png 선사의 휘는 지천(智泉)이요, 속성(俗姓)은 김씨(金氏)로 본관은 재령(載寧)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사재부령(司宰副令)이요, 어머니 윤씨(尹氏)는 의성부(義城府)의 사족(士族)이다. 원(元) 나라 태정(泰定 진종(晉宗)의 연호) 갑자년(1324, 충숙왕11)에 태어나, ... Quote-right.png
출처: "추증(追贈) 정지국사(正智國師) 비명(碑銘)", 양촌집(陽村集) 제38권 비명류(碑銘類),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출가수행

1332년(충숙왕 복위 1) 장수산 현암사(懸菴寺)로 출가하여 바로 선(禪)을 닦다가, 뒤에 『능엄경(楞嚴經)』을 배워 깊은 뜻을 깨달았다.[2]

Quote-left.png 19살 때 장수산(長壽山) 현암사(懸庵寺0에서 삭발하고 스님이 되었다. 출가한 초기(初期)부터 경전을 배우지 아니하고 곧 다시 바로 선지(禪旨)를 참구한 후, 『능엄경(楞嚴經)』을 배웠으나, 제대로 이해가 되지 않았다. 다시 선전(禪典)으로 돌아가서 『남명화상송증도가사실(南明和尙頌證道歌事實)』을 배우면서 크게 얻은 바가 있었다. 그 후 다시 『능엄경』을 연구하여 대의(大義)를 분명하게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여러 강사(講師)들에게 질문하기도 하였다. 스님의 경안(經眼)에 대한 왕왕(往往) 뛰어난 학해(學解)가 자신들의 미치지 못한 부분이었으므로 강사(講師)들이 탄복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지평 용문사 정지국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72-73쪽.


구법유학

1353년(공민왕 2) 무학(無學)과 함께 원나라로 가서 인도에서 온 지공(指空)을 찾았다. 그 때 고려에서 먼저 온 나옹(懶翁)지공의 인가를 받았으므로 지천과 무학 두 사람은 함께 나옹의 제자가 되었다. 그 뒤 함께 여러 곳을 다니다가, 오대산의 벽봉(碧峯)으로부터 지도를 받았으며, 1356년(공민왕 5) 귀국하였다.[3]

Quote-left.png 지정(至正 원 순제(元順帝)의 연호) 계사년(1353, 공민왕2)에는 지금의 왕사(王師)인 무학(無學)과 함께 연경(燕京)에 들어가 법천사(法泉寺)에서 지공(指空)을 배알하였는데, 당시 나옹(懶翁)은 앞서 들어가 지공의 인가(印可)를 받아 도(道)의 명성이 이미 드러나 있었다. 두 선사는 모두 그에게 나아가 사사하고 같이 종유하며 연마하여 조예가 더욱 높아졌다. 또 오대산(五臺山)에 들어가 벽봉화상(碧峯和尙)을 배알하였는데, 그때 명사(名士)인 조중목(趙仲穆)이 선사에게 축원(竺源)이란 두 대자(大字)를 전서(篆書)로 써 주었으니 이는 선사의 법호(法號)였다. 병신년(1356, 공민왕5)에 귀국하여 ... Quote-right.png
출처: "추증(追贈) 정지국사(正智國師) 비명(碑銘)", 양촌집(陽村集) 제38권 비명류(碑銘類),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활동

지천은 1356년(공민왕 5) 귀국하여 자취를 감추고 수행에만 힘썼다. 그는 항상 말이 적고 근엄하였으며, 깊은 산에 숨어 지낼 뿐 대중을 거느리고 법회를 여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4]

Quote-left.png 병신년(1356, 공민왕5)에 귀국하여 향산(香山)으로 들어갔다가 오대산(五臺山)ㆍ소백산(小白山)ㆍ지리산(智異山)ㆍ미지산(彌智山) 등을 편력하였는데, 이르는 곳마다 반드시 외진 방에 홀로 물러앉고 여러 사람들의 모임에 어울리지 않았으며, 항상 말과 웃음이 적고 근엄하기만 하였다. 간혹 도(道)의 요지(要旨)를 질문하는 자가 있으면, 그 물음에 따라 대답하되 드물게 말하여 자신이 탐구하게 하고, 묻지 않으면 말하지 않았다. 그래서 뭇사람들은 자못 연로(年老)함으로 존경할 뿐 일찍이 특이한 덕망을 갖춘 것은 알지 못하였다. 나옹과 무학은 서로 이어 명성을 드날리며 왕사(王師)가 되어 크게 종풍(宗風)을 떨쳤으므로, 사방의 무리들이 물결처럼 쏠려 추향(趨嚮)하되, 공(公)만이 홀로 포부와 자취를 감추고 운산(雲山)에 숨어 살고 한 번도 대중 모임을 거느리거나 강석(講席)을 주관한 일이 없었다. 공은 이처럼 오로지 내명(內明)만 닦기를 늙을 때까지 게을리하지 아니하더니, ... Quote-right.png
출처: "추증(追贈) 정지국사(正智國師) 비명(碑銘)", 양촌집(陽村集) 제38권 비명류(碑銘類),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입적

지천은 1395년(태조 4) 천마산 적멸암(寂滅庵)에서 나이 72세, 법랍 54세로 입적하였다. 화장을 하자 사리가 많이 나왔으며, 태조는 이를 기이하게 여겨 '정지국사(正智國師)'라는 시호를 내렸다. 조안(祖眼) 등 지천의 제자들은 미지산(彌智山) 용문사(龍門寺)에 탑과 비를 세웠으며, 비문은 1398년(태조 7) 태조의 명으로 권근이 지었다.

Quote-left.png 홍무(洪武) 28년 을해(乙亥) 7월 7일 고승(高僧) 천공(泉公)스님이 천마산 적멸암(寂滅菴)에서 입적하였다. 화장을 마친 후 몇일만에 스님의 제자인 지수(志修)에게 현몽(現夢)하여 이르기를 "너는 어찌하여 사리(舍利)를 방치하고 거두지 아니하는가?"라 하므로 깜짝 놀라 그의 도제(徒弟)들에게 일러주고 화장하였던 장소(場所)로 달려가서 무수(無數)한 사리(舍利)를 얻었으니, 오색이 영롱하고 광채가 났다. 산중(山中)의 모든 스님들이 그 곳으로 달려가 예배하고 정대(頂戴)하면서 미증유(未曾有)의 신비를 찬탄하였다. 주상(主上)이 이 소식을 듣고 기이(奇異)하게 여기시고, 정지국사(正智國師)라는 시호를 추증하였다. 문인(門人) 조안(祖眼)등이 미지산 용문사로 가서 부도(浮圖)를 다듬어 사리(舍利)를 안치하였다. 또 비(碑)를 세워 스님의 공덕(功德)을 기록하고자 하여 무인년(戊寅年) 여름 임금께 표장(表狀)을 올려 입비(立碑)를 건의하였다. 임금께서 윤허(允許)하고 신(臣) 근(近)에게 비문(碑文)을 지으라고 명(命)하시므로 근(近)이 물러나와 조안(祖眼)에게 스님의 행장(行狀)에 대하여 물어 보았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지평 용문사 정지국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71-72쪽.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지천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지천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지천 묘음사 현암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혜근 지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천 자초 A는 B의 동문이다 A ekc:isFellowOf B
지공 지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천 적멸암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24년 지천은 황해도 재령에서 출생하였다.
1332년 지천묘음사 현암으로 출가하였다.
1353년 지천자초와 함께 원나라로 가서 지공을 배알하였다.
1356년 지천은 고려로 귀국하였다.
1395년 지천천마산 적멸암에서 입적하였다.
1398년 조선 태조의 명으로 권근지천의 비문을 지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지천",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종익, "지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종익, "지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종익, "지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지관, "지평 용문사 정지국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66-77쪽.
  • "추증(追贈) 정지국사(正智國師) 비명(碑銘)", 양촌집(陽村集) 제38권 비명류(碑銘類),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 "용문사정지국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지천",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종익, "지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