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Encyves Wiki
민족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0일 (월) 14:04 판 (인용 및 참조)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범도(洪範圖)
이상태, "홍범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홍범도
한자표기 洪範圖
생몰년 1868년-1943년
여천(汝千)
시대 근대
대표직함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유형 독립운동가



정의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자 일제시대 항일 독립군의 장군이다.

내용

의병 활동

1895년 일본군에게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시해되자 평안북도 후창(厚昌)에서 소규모 의병을 조직하였다. 1907년말에는 다시 함경남도 갑산(甲山) 등지에서 차도선(車道善)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갑산(甲山)ㆍ삼수(三水)ㆍ북청(北靑) 등지에서 친일단체인 일진회(一進會)의 회원을 주살하고, 우편물을 탈취하며, 전선을 절단하는 등 활동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 일군과 전투를 벌였다. 1908년 5월 차도선이 일군의 포로가 된 뒤에는 5백여명의 부하를 지휘하여 귀순을 권유하는 일경 10여명을 사살하는 등 계속 활동하였다. 1907년 12월 삼수전투에서 일본군 함흥·북청·갑산 수비대를 궤멸시키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어 수십 차례 전투를 승리로 이끌자 일본군은 홍범도의 아내를 붙잡아다 처형하였다.
북청수비대(北靑守備隊)의 병력이 점차 증강되자 홍범도 일행은 부득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한다. 망명 후에는 이진룡(李鎮龍)조맹선(趙孟善)윤세복(尹世復)을 비롯하여 일군으로부터 탈출해 온 차도선(車道善) 등과 함께 장백(長白)ㆍ무송(撫松) 등지에서 포수단(砲手團)을 조직, 일제와의 항쟁을 계속하였으며, 1911년 3월에는 부장 박영신(朴永信)을 국내에 진입시켜 무산(茂山) 등지에서 일군과 교전하기도 한다.[1]

봉오동전투

1919년 국내로 들어오면서 ‘독립군’으로 이름과 조직을 개편하였다. 3·1운동 후 동만주에 거주하는 동포들이 간도대한국민회(間島大韓國民會)를 결성하자, 1920년 5월 합류하였다. 간도대한국민회와 대한독립군의 합작 군사조직으로 제1군사령부가 결성되었고 홍범도는 정일 제1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20년 5월 27일 북로사령부로 개명되었고, 이후 최진동(崔振東)이 지휘하는 도독부(都督府)와 통합하였다. 최진동이 독군부 부장, 안무가 부관, 홍범도가 북로제1군사령에 임명되었다. 확대 개편된 500여 명의 대부대로 국내 진입작전을 감행하였다. 1920년 6월 최진동과 협력하여 종성(鍾城) 삼둔자(三屯子) 부근에서 국경수비대와 격전을 벌여 120명을 사살하는 대전과를 올렸으며, 두만강 대안의 봉오동(鳳梧洞)에서 일본군 대부대를 전멸시키는 큰 성과를 올리니, 이것이 유명한 봉오동전투이다.[2]

청산리대첩

이해 9월에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가 청산리(靑山里)에서 역시 일군을 대파하였으나 다시 일본군의 대부대가 만주 전역에 걸쳐 출동을 개시했으므로 부하 6백여 명을 데리고 북로군정서김좌진(金佐鎭) 부대가 집결해 있는 밀산(密山)으로 이동, 지청천(池靑天) 부대와 여러 단체까지 통합, 대한 독립단을 조직하고 부총재에 취임했다.[3]

자유시사변

1921년 러시아령(領) 흑하자유시(黑河自由市)로 이동하여 스랍스케 부근에 주둔, 레닌 정부의 협조를 얻어 고려혁명군관학교를 설립하는 등 독립군의 실력양성에 힘썼으나, 같은 해 6월 소련 당국의 한국독립군에 대한 무장해제령으로 빚어진 자유시사변(自由市事變)을 겪은 뒤 이르크츠크로 이동하였다. 이후 연해주에서 콜호스(집단농장)를 차려 농사를 지으며 한인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으나, 1937년 스탈린의 한인강제이주정책에 의하여 카자흐스탄의 크질오르다로 강제이주되었다. 이곳에서 극장 야간수위, 정미소 노동자로 일하다가 1943년 76세로 사망하였다.[4]

사후

1982년 카자흐스탄의 한글신문 《레닌기치》 기자들과 한인들이 중심이 되어 크질오르다 중앙공동묘역으로 이장하였으며, 흉상과 3개의 기념비를 세웠다. 또 말년에 거주하던 집은 크질오르다의 역사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집 근처의 거리는 '홍범도 거리'로 지정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홍범도 봉오동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독립군 홍범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대한독립군 봉오동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독립군 청산리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독립군 노두구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독립군단 홍범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홍범도 자유시사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혁명군관학교 홍범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20년 06월 홍범도봉오동전투에 참가하였다
1920년 10월 홍범도청산리대첩에 참가하였다

공간정보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 2002. 온라인 참조: "홍범도",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상태, "홍범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홍범도", 『인명사전』online, 민중서관.
  4. "홍범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홍범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 2002. 온라인 참조: "홍범도",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상태, "홍범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 "홍범도", 『인명사전』online, 민중서관.
    • "홍범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반병률, 『홍범도 장군 (자서전 홍범도 일지와 항일무장투쟁)』, 한울아카데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