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楊平 菩提寺址 大鏡大師塔碑) |
|
대표명칭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Daegyeong from Borisa Temple Site, Yangpyeong |
한자 | 楊平 菩提寺址 大鏡大師塔碑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서빙고로 137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61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최인연(崔仁渷) |
서자 | 이환추(李桓樞) |
각자 | 최문윤(崔文尹)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여엄(麗嚴) |
건립연대 | 939년 |
승탑 |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
목차
정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보리사지(菩提寺趾)에서 발견된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862-929)의 탑비.
내용
개요
이 탑비는 보물 제361호로, 전체 높이 350㎝, 비신(碑身)[1] 높이 176㎝, 너비 80㎝, 두께 24.5㎝이다.[2]
이 비는 승려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의 것으로, 보리사지(菩提寺址)에서 발견되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3]
비문은 문인 최인연(崔仁渷)이 지었고 이환추(李桓樞)가 썼으며 최문윤(崔文尹)이 새겨서 대경대사가 돌아간 지 9년 후인 939년(태조 22)에 세워졌다. 비문의 뒷면은 다시 3년 후인 942년(태조 25)에 새겨졌다. 비문은 31행에 1행 58자의 구성으로 해서(楷書)로 쓰여 있다. 비의 왼쪽 윗 부분이 깨지고 중간에 파인 부분이 더러 있으나 대체로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4]
비는 귀부(龜跌)와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귀부는 여의주를 입에 물고 있는 거북 형상으로 만들었으며, 등에는 세밀한 육각형 귀갑문이 새겨져 있다. 이수는 제액(題額)을 중심으로 구슬을 다투는 두 마리의 용과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는데, 비신과 귀부(龜趺)[5]에 비해 매우 커서 아랫부분과의 비례가 잘 맞지 않는다. 제액은 마모가 심해 알아보기 어려우나 태조가 내린 '현기(玄機)'라는 탑호가 새겨져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6]
비문
전면
비문의 내용은 도입부에 이어 대경대사(大鏡大師)의 가계와 탄생에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출가하여 성주사(聖住寺) 낭혜화상(郎慧和尙)과 낭혜의 제자 심광(深光)에게 수학하고 중국에 유학하여 운거도응(雲居道膺)[7]의 법을 이어 귀국하였다. 909년 귀국 후에 교화한 활동을 서술하였으며, 입적과 비를 세우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8]
후면
942년(태조 25)에 그의 문하생들 이름이 뒷면에 새겼다. 이 기록에 의해서 그의 문하에 융천(融闡)·흔정(昕政)·연육(連育)·총혜(聰惠)·장초(莊礎)·정잠(定岑) 등 500여 명이 있었던 것도 알 수 있다.[9]
비문 보러가기 |
• 임세권,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5-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
• "보리사대경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양평 보리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경복궁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양평 보리사지 | 양평 보리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고려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여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최인연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최문윤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여엄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양평 보리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고려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939년 | 여엄의 탑비인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가 양평 보리사에 건립됨. |
1963년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가 보물로 지정됨.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TAEMIX STUDIO, "고려시대 보리사 대경대사 탑비-태믹스의 지식문화 콘텐츠", YouTube, 게시일: 2015년 05월 09일.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김세호,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보리사대경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
- ↑ "양평 보리사 대경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온라인참조: "도응",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보리사대경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위키백과』online .
참고문헌
- 김세호,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보리사대경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양평 보리사 대경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위키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