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기도
Encyves Wiki
선기도 (璇璣圖) |
|
대표명칭 | 선기도 |
---|---|
한자표기 | 璇璣圖 |
정의
한시를 이루는 한자들이 원이나 사각형으로 배치된 시(詩)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렇게 또는 저렇게 읽어도 통하는 특징이 있다. [1]
내용
선기도의 유래
「선기도」는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소약란(蘇若蘭)이 유배간 남편 두도(竇滔)를 그리워하며 오색실로 수놓아 만든 841자로 된 시다. 이것은 돌려가며 읽을 수도 있고 하나씩 건너뛰어 읽어도 시어가 연결되어, 전체 7958 수의 시를 읽어낼 수 있다.[2]
한시체의 형식의 하나
「선기도」는 「직금회문(織錦回文)」이라고도 부른다. 회문(回文)이란 한시체의 하나로서 위아래 어느 방향으로 읽어도 뜻이 통하는 글의 한 형식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선기도 | 규방미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선기도 | 소약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선기도 | 두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선기도 | 한시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선기도 | 직금회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주영하, 한형조, 최재목 외,『한국인의 문화 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 어울림, 한국인의 심성에 흐르는 강물, 최재목
- ↑ 주영하, 한형조, 최재목 외,『한국인의 문화 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 어울림, 한국인의 심성에 흐르는 강물, 최재목
- ↑ 주영하, 한형조, 최재목 외,『한국인의 문화 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 어울림, 한국인의 심성에 흐르는 강물, 최재목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주영하, 한형조, 최재목 외, 『한국인의 문화 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
- 최석원, 「송대(宋代) 회문시(回文詩)의 격률화에 대한 고찰」, 『中國文學硏究』, Vol.53 No.- , 2013, 한국중문학회, 2013, 1-2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