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도설
Encyves Wiki
고산구곡도설(高山九曲圖說) | |
대표명칭 | 고산구곡도설 |
---|---|
한자표기 | 高山九曲圖說 |
저자 | 권섭(權燮) |
소장처 | 충청북도 제천시 의암로 566-7 (봉양읍, 의암거택) |
지정번호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64호 |
정의
옥소(玉所) 권섭(權燮, 1671-1759)이 〈고산구곡도〉와 관련된 각종 사항에 대해 기록한 글이다.
내용
권섭의 「 옥소장계(玉所藏呇)」에 수록되어 있으며, 〈고산구곡도〉의 제작 경위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 내용에 따르면 이이의 서현손(庶玄孫)인 이석(?: 李[禾+奭])[1]이 그린 〈고산구곡도〉를 원만령(元萬齡)이 소장하고 있다가 김수증(金壽增)에게 주었다. 그리고 김수증으로부터 그 작품을 증여받은 송시열(宋時烈)은 김수증, 김수항(金壽恒), 권상하(權尙夏) 등 9명에게 「고산구곡가」의 차운시를 짓게 하여 그림과 함께 장정(裝幀)하였다고 한다.[2]
현대의 17권본 전집 『옥소고』의 제11권에 「옥소장계」가 실려 있다.[3] 이곳의 내용을 아래에 시각자료 이미지로 제시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산구곡도설 | 고산구곡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고산구곡도설 | 권섭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산구곡도설 | 옥소장계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옥소장계 | 옥소고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이이의 서현손 이름을 禾 변이 아니라 사람인변이나 두인변 혹은 삼수변으로 볼 수도 있겠다. 인명으로 사용한 글자이기에 실사변의 가능성은 낮을 수 있겠다. 원문의 앞부분에서는 사람인변 모양이 거의 확실해 보이기도 한다.
- ↑ "고산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제11권, 다운샘, 2007, 448~451쪽에서 확인이 된다. 『옥소고』의 문화재지정사항 및 기타 정보는 위키백과 '옥소고' 및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옥소고' 참고.
- ↑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제11권, 다운샘, 2007.
- ↑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제11권, 다운샘, 2007.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제11권, 다운샘, 2007, 448~451쪽.
- "고산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