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신문
독립신문(獨立新聞) | |
대표명칭 | 독립신문 |
---|---|
한자표기 | 獨立新聞 |
영문명칭 | the Independence News |
유형 | 문헌 |
간행시기 | 1896년 4월 7일-1899년 12월 4일 |
시대 | 대한제국 |
크기 | 1건 1식 |
소장처 | 연세대학교 |
지정번호 | 등록문화재 제506호 |
지정일 | 2012년 10월 17일 |
목차
정의
한국 최초의 민간신문.
내용
정부 자금으로 창간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徐載弼)이 정부로부터 신문사 창설비 3,000원과 서재필의 주택구입비 1,400원의 자금을 지급받아 1896년 4월 7일 창간하였다. 처음에는 가로 22cm, 세로 33cm의 국배판 정도 크기로 4면 가운데 3면은 한글전용 『독립신문』으로 편집하고, 마지막 1면은 영문판 『The Independent』로 편집하였다.[1]
창간 이듬해인 1897년 1월 5일자부터 국문판과 영문판을 분리하여 두 가지 신문을 발행하였다. 이 신문은 여러 가지로 한국 신문사상 획기적인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19세기 말 한국사회의 발전과 민중의 계몽을 위하여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 한 시대의 기념비적인 신문으로 평가받고 있다.[2]
논평과 비판
독립신문은 논평과 비판을 신문의 중요한 기능으로 삼았다. 1면 머리에 논설을 실어서 정부와 집권 위정자들의 비정(秕政)을 가차 없이 비판하고 탐관오리들의 부정부패를 폭로했으며, 민간인의 잘못도 서슴지 않고 지적했다. 서재필은 창간호 논설에서 "정부 관원이라도 잘못하는 이 있으면 우리가 말할 터이요 탐관오리들을 알면 세상에 그 사람의 행적을 페이겠다"고 선언했다. 실제로 그는 부패 무능한 정부 관리들을 비판하는 한편 이권 침탈에 혈안이 된 열강 세력의 부당한 요구에 저항했다.[3]
1883년 10월부터 1888년 7월까지 정부 기구인 박문국에서 발행한 『한성순보』와 『한성주보』는 정부가 직접 발행한 신문이므로 논평과 비판 기능이 없었다. 그러나 민간이 발행한 『독립신문』은 한국 언론의 정신사적인 원류로 독립신문의 비판 기능과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저항정신은 한국 언론의 전통으로 이어 내려오게 되었으며, 언론의 정신사적인 지주가 되고 있다.[4]
서재필의 추방
『독립신문』이 정부 고위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고발하고 열강의 이권침탈을 규탄하여 국가의 이익을 대변하고 국민의 여론을 선도하자 불만을 품은 러시아 공사관과 수구파들은 서재필의 추방을 획책하게 되었다. 일본도 이에 동조했다. 서재필의 태도에 대해 정부도 불만을 품고 있었다.[5]
이리하여 1897년 12월 13일 외부대신 조병식은 주한 미국공사 호러스 알렌(Horace N. Allen)에게 서재필의 중추원 고문직 해임을 통보하고, 이튿날인 12월 14일에는 농상공부에 조회하여 서재필을 중추원 고문직에서 해임했으므로 독립신문도 폐간시키라고 요청했다.[6]
정부 매수와 폐간
1898년 5월 14일 서재필이 미국으로 돌아간 후 윤치호(尹致昊)가 주필 겸 실질상의 관리자로 운영을 맡았다. 윤치호는 창간 이후 격일간으로 주 3회 발행하던 것을 1898년 7월 1일부터 일간으로 발전시켰다. 1899년 1월 윤치호가 덕원부사겸원산감리(德源府使兼元山監理)가 되어 신문발행에서 손을 떼자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가 한동안 주필이 되었고, 6월 1일부터는 영국인 엠벌리(Emberley)가 맡았으나, 정부가 이 신문을 매수하여 1899년 12월 4일자로 폐간하였다.[7] 『독립신문』이 창간된 때로부터 폐간까지 43개월 동안 발간된 총 호수는 한글판 776호, 영문판이 442호였다.
평가와 의의
독립신문은 구독료와 광고료를 주축으로 운영되었고, 취재기자를 두었으며, 지국을 설치하고 가두판매를 하였다. 이러한 제작 방법과 경영은 독립신문이 관보의 성격을 벗어나 정부로부터 독립적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독립신문은 정치, 사회문제와 정부의 시책을 비판하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견해와 대안을 제시하였다.[8]
뿐만 아니라, 독립신문의 독자들이 이 신문을 매개로 정치, 사회의식을 공유하고 당시의 제 문제들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근대토론문화의 탄생을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독립신문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신문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공동의 토론장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 있다.[9]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독립신문 | 독립협회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독립신문 | 서재필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독립신문 | 윤치호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독립신문 |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독립신문 | 신문의 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SBS 뉴스 - 역사적 가치' 한성순보·독립신문 문화재 된다(방송일 : 2012년 8월 20일)
주석
- ↑ "독립신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독립신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장진석, 『한국 신문 역사』,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2013. 온라인 참조: "독립신문과 서재필", 한국 근현대사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장진석, 『한국 신문 역사』,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2013. 온라인 참조: "독립신문과 서재필", 한국 근현대사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장진석, 『한국 신문 역사』,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2013. 온라인 참조: "독립신문과 서재필", 한국 근현대사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장진석, 『한국 신문 역사』,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2013. 온라인 참조: "독립신문과 서재필", 한국 근현대사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독립신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독립신문", 독립신문과 만민공동회,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독립신문", 독립신문과 만민공동회,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최초신문원조독립신문편집실",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독립신문1896년4월7일자",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독립신문", 주요 소장품 검색,
『국립중앙박물관』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문서
- 신용하, "독립신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독립신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독립신문",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독립신문", 한국 근현대사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장진석, 『한국 신문 역사』,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2013. 온라인 참조: "독립신문과 서재필", 한국 근현대사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독립신문", 독립신문과 만민공동회,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신용하, "독립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