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서

Encyves Wiki
김선미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31일 (화) 02:50 판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화서(圖畵署)
대표명칭 도화서
한자표기 圖畵署
유형 제도
창립일 고려시대
변경일 1470년


정의

도화서는 조선시대에 공적인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이다.

내용

설립 및 변천

  • 설립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도화 업무를 담당한 관청인 도화원(圖畵院)의 명칭을 그대로 썼으나 1471년경 도화서로 개칭하였다. 도화서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도화 업무를 담당한 관청으로 예조에 소속된 종6품의 아문(衙門)이다.[1]

  • 변천과정

정조 때는 규장각에 차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을 선발하여 운영하였다. 도화서 화원 가운데 다시 시험을 보아 국왕의 측근에서 도화 업무를 수행하는 제도를 두었다. 1894년에 갑오개혁 이후에는 도화서가 규장각에 소속되었고, 화원은 화원도화주사(畵員圖畵主事)로 명칭이 바뀌었다.[2]

업무

19세기 중엽의 『육전조례(六典條例)』에는 화원들의 임무가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궁중장식화 등의 밑그림 그리는 일, 왕의 관을 보관해 두는 찬궁(欑宮)에 들어가는 사수도(四獸圖), 왕릉의 석물조각에 필요한 밑그림, 의궤, 반차도와 도설(圖說), 죽책문(竹冊文) 등에 찍은 어보(御寶)의 획을 단정하게 정리하는 보획(補劃), 돌에 글자를 새길 때 종이에 붉은 선으로 글자획을 그리는 북칠(北漆) 등이 그 업무로 명시되어 있다. 도화서는 조선 왕조 5백 년간 한번도 폐지한 적이 없을 정도로 국가와 왕실의 도화 업무를 맡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왕실의 권위와 왕실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였다.[3] 『오륜행실도』와 같이 왕실에서 반포하는 서적류에 들어가는 삽화도 모두 도화서에서 그린 것들이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휸행실도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무신진찬도병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수교도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화성능행도병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반차도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도화서 김홍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예조 도화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장만 공신도상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도화서",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online, 국립민속박물관, 2004. 온라인 참조: "도화서",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네이버지식백과』online.
  2. "도화서",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online, 국립민속박물관, 2004. 온라인 참조: "도화서",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네이버지식백과』online.
  3. "도화서",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online, 국립민속박물관, 2004. 온라인 참조: "도화서",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네이버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동원, 「조선왕조시대의 도화서와 화원」,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단행본
    • 윤진영, 『19세기 광통교에 나온 민화, 광통교 서화사』, 서울역사박물관, 2016.
    • 김민기 외,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2.
    • 김민기 외, 『조선 궁궐의 그림』, 돌베개, 2012.
    • 조선시대 회화사론(홍선표, 문예출판사, 1999),
    •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상』, 돌베개, 2001.
    • 안휘준, 『한국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