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봉한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30일 (월) 23:23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봉한(洪鳳漢)
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대표명칭 홍봉한
한자표기 洪鳳漢
생몰년 1713-1778
본관 풍산(豊山)
익익재(翼翼齋)
익여(翼汝)
홍현보(洪鉉輔)
임방(任埅)의 딸
자녀 혜경궁 홍씨


정의

홍봉한(1713∼1778)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익여(翼汝), 호는 익익재(翼翼齋). 이조판서 홍만용(洪萬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중기(洪重箕)이고, 아버지는 홍현보(洪鉉輔)이며, 어머니는 임방(任埅)의 딸이다. 세자익위사세마로 있을 때인 1743년 딸이 세자빈(惠慶宮洪氏)으로 뽑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장인이 되었다.[1]

관직활동

사도세자의 장인으로서 정쟁에 참여하다

사도세자의 장인이며, 세손( 정조)의 외할아버지로서 영조계비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金氏)의 친정 인물인 김귀주(金龜柱) 세력과 권력 다툼을 하였다. 영조대 중반 이후 김귀주 중심의 남당(南黨)에 대립했던 북당(北黨)의 중심 인물로 평가되었다.[2]

사도세자 사후의 대처

조선 후기 노론·소론이 대립하는 가운데 1762년 세자가 죽음을 당할 때에 방관적인 태도를 취해 후일 정적들로부터 많은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영조가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리는 등 세자에 대한 처분을 뉘우치자, 그 사건을 초래하게 한 김구주 일파를 탄핵해 정권을 장악하였다. 그리고 세자 죽음의 전말을 상세히 적은 『수의편(垂義篇)』을 편찬해 반대파를 배격하는 구실로 이용하였다. 정조 연간에는 그의 행적에 대한 시비가 정파 대립의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그래서 그를 공격하는가 또는 두둔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벽파(僻派)와 시파(時派)를 구분하기도 하였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홍낙인 처 여흥 민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홍낙인 홍낙인 처 여흥 민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홍봉한 홍낙인 처 여흥 민씨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조선 정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홍봉한 혜경궁 홍씨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혜경궁 읍혈록 혜경궁 홍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혜경궁 읍혈록 사도세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혜경궁 홍씨 정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홍봉한 신경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훈민정음도해 신경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홍봉한 벽파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벽파 김귀주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홍봉한 김귀주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유승주, "홍봉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유승주, "홍봉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유승주, "홍봉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근호, 「18세기 후반 혜경궁 가문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朝鮮時代史學報』Vol.74 ,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정만조, 「혜경궁의 삶과 영조대 중·후반의 정국」, 『朝鮮時代史學報』 Vol.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최옥환, 「思悼世子의 罪와 罰(사도세자의 죄와 벌)」, 『전북사학회』Vol.24, 전북사학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