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진-소양강댐
소양강댐 | |
작가 | 박광진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경제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목차
정의
1967년 4월에 착공하여 1973년 10월에 완공된 높이 123m, 길이 530m, 총저수량 29억톤의 소양강댐을 건설하는 모습이다.
소양강댐은 경부고속도로와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꼽힌다.[1]
설명
작품 소재
소양강댐은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다목적댐으로, 가까운 산으로부터 다량의 암석이나 차수벽용의 양질의 점토를 채취 사용한 사력댐[2]으로는 세계에서 네번째로 크며 동양최대의 댐이다.
이 댐은 왼쪽으로 강원도 춘천시 동면 월곡리와 오른쪽으로 신북읍 천전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 댐의 건설에는 내자 1백99억 2천5백만원, 외자 66억4백만원등 모두 2백69억 2천9백만원을 들여 1967년에 착공, 4년2개월만인 1972년10월에 담수식을 가졌다.
작품 배경
소양강댐의 건설은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등 4대강에 대한 물관리와 수계의 일관된 개발로 가뭄과 홍수 피해를 막고 연안 토지의 고도이용, 식량증산 및 영농의 안전화 도모를 목표로 한 4대강유역개발사업의 일환이다. 공사에 연인원 6백만명이 동원되었으며 공사 때 발파사고, 충돌사고, 낙석사고로 숨진 사람만도 40여 명이나 된다.[3]
작품 구도
그림에 보이는 댐은 거의 완공단계이며 왼편에는 시설용량 연간 20만KW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건설중이다.이 댐의 건설로 연간 12억 톤의 관개·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고, 관개면적은 7,500㏊, 홍수 조절량은 5억 톤, 시설 발전용량은 20만㎾, 연발전량은 353Ghw이다. 댐에 의하여 형성된 소양호는 댐에서 상류로 43.2㎞ 지점의 양구·인제까지 배를 타고 오갈 수 있어, 호수 주변의 경관이 아름다워 국민 관광지 및 휴양지로 제공되고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광진-소양강댐 | 박광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박광진-소양강댐 | 소양강댐 | A는 B를 소재로 한다 | A ekc:depicts B |
박광진-소양강댐 | 총무처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소양강댐 | 소양호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소양강댐 | 소양강수력발전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소양강댐 | 사력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소양강댐 | 다목적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팔당댐 | 다목적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소양강댐 | 현대건설 |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 A dcterms:constructor B |
현대건설 | 정주영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소양강댐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박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정희 | 소양강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정희 | 서울 지하철 1호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정희 | 경부고속도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일청구권자금 | 경부고속도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일청구권자금 | 포항종합제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일청구권자금 | 원양어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일청구권자금 | 소양강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일청구권자금 | 한일회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박광진이 박광진-소양강댐를 제작하였다 |
1967년 04월 15일-1973년 10월 15일 | 현대건설이 소양강댐을 건설하였다 |
1979년 | 총무처가 박광진-소양강댐을 대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975795 | 127.819478 | 박광진-소양강댐은 소양강댐을 소재로 한다 |
관련 민족기록화
- 경제편 - 에너지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954호-소양강댐 준공(제작일: 1973년 10월 20일)
주석
- ↑ "소양강댐",
『위키백과』online . - ↑ 토목관련용어편찬위원회, 『토목용어사전』, 도서출판 탐구원, 1997. 온라인 참조: "사력댐", 토목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지도가 바뀐다(20), 소양강댐", 『매일경제』, 1973년 9월 12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정주영, 『이 땅에 태어나서 - 나의 살아온 이야기』, 솔,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