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원왕후
순원왕후(純元王后) | |
대표명칭 | 순원왕후 |
---|---|
한자표기 | 純元王后 |
생몰년 | 1789년 5월 15일-1857년 8월 4일(음) 재위 왕비 1802년-1834년, 왕대비 1834년, 대왕대비 1834년-1857년 |
본관 | 안동 김씨(安東 金氏) |
이칭 | 명경대왕대비 |
출생지 | 양생방(養生坊) 사저 |
사망지 | 창덕궁 양심합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왕비, 왕대비, 대왕대비, 추존황후 |
배우자 |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純祖) |
부 |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 |
모 | 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청송 심씨(靑松 沈氏) |
자녀 | 1남 3녀, 효명세자(孝明世子), 명온공주(明溫公主), 복온공주(福溫公主), 덕온공주(德溫公主) |
전임자 |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
후임자 |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 |
능묘 | 인릉(仁陵) 37.4655982, 127.0795955 |
성격 | 인물 |
유형 | 왕비 |
목차
정의
순조의 비로, 김조순(金祖淳)의 딸이다. 2번에 걸쳐 수렴청정을 하였으며, 안동김씨 세도정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내용
생애
1800년(정조 24)에 왕세손빈으로 초간(初揀)되었으나 이해 정조(正祖)가 죽었기 때문에 책봉되지는 못하였으며, [1] 1802년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비로 책봉되었다.[2] 순원왕후의 왕비 책봉은 곧 안동 김씨(安東 金氏) 세도정치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순조가 혼인한 다음해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두었으며, 정순왕후가 죽자 노론 벽파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어 심환지(沈煥之)의 관작이 추탈되고 김관주(金觀柱)가 삭직되는 등 벽파가 조정에서 축출되었다.[3] 벽파가 축출된 뒤에는 안동김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되었다. 순조는 안동김씨를 제어하기 위하여 조만영(趙萬永)의 딸을 왕세자빈으로 들이기도 하였으나,[4] 효장세자(孝章世子)가 급사하여 좌절되었다.[5] 헌종(憲宗)이 즉위할 때 대비가 되어 수렴청정을 하였으며,[6] 곧 대왕대비가 되었다.[7] 이때 안동김씨의 세도는 더욱 강화되었다. 순원왕후의 수렴청정 기간에는 안동김씨 김조근(金祖根)의 딸이 왕비가 되어 안동김씨 세도가 더욱 강화되었으며,[8] 1839년(순조 5)에는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었다.[9] 이것이 기해박해(己亥迫害)이다. 기해박해로 프랑스인 천주교 주교 앵베르[Laurent Joseph Marie Imbert, 范世亨] 등과 신도 정하상(丁夏祥) 등이 처형되었다.[10] 기해박해가 끝난 다음해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두었다.[11] 헌종이 죽고 철종(哲宗)이 왕위에 오르자 순원왕후가 다시 수렴청정을 하였다.[12] 순원왕후는 1851년(철종 2) 수렴청정을 거두었다.[13] 철종 초반의 수렴청정은 안동김씨의 세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1857년(철종 8) 창덕궁 양심합(養心閤)에서 죽었다.[14]
사후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에 순조와 순원왕후의 능인 인릉(仁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헌릉(獻陵)과 함께 사적 제 194호로 지정되었다.[15]
거행 의례
헌종무신진찬의궤,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16], 순원왕후신정왕후존숭도감의궤[17], 순원왕후상호도감의궤[18], 순원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19]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조 | 순원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순원왕후 | 왕비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순원왕후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순원왕후 | 헌종무신진찬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02년 10월 13일 | 순원왕후의 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1834년 11월 18일 | 순원왕후의 대비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1834년 11월 19일 | 순원왕후의 대왕대비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시간 | 내용 |
---|---|
창덕궁 인정전 | 왕비의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조선 순조와 순원왕후의 인릉의 모습[20]
영상
주석
- ↑ 『正祖實錄』 : 「遷陵誌文」
- ↑ 『純祖實錄』 2년(1802) 10월 辛亥: 「御仁政殿行冊妃禮」
- ↑ 『純祖實錄』 6년(1806) 4월 庚辰: 「三司合辭三次」
- ↑ 『純祖實錄』 19년(1819) 8월 庚子: 「敎曰」
- ↑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문헌과 해석』 56, 태학사, 2011, 71-75쪽.
- ↑ 『憲宗實錄』 즉위년(1834) 11월 己卯: 「上卽位于崇政門」
- ↑ 『憲宗實錄』 즉위년(1834) 11월 庚辰: 「禮曹啓言」
- ↑ 『憲宗實錄』 3년(1837) 3월 乙未: 「上御仁政殿冊金氏爲王妃」
- ↑ 『憲宗實錄』 5년(1839) 3월 丙辰: 「執義鄭琦和疏曰」
- ↑ 『憲宗實錄』 5년(1839) 8월 丁丑: 「鞫西洋人范世亨羅伯多祿鄭牙各伯及丁夏祥劉進吉誅之」
- ↑ 『憲宗實錄』 6년(1840) 12월 辛巳: 「大王大妃命招時原任大臣敎曰」
- ↑ 『哲宗實錄』 : 「行狀」
- ↑ 『哲宗實錄』 2년(1851) 12월 己酉: 「召見時原任大臣國舅于熙政堂」
- ↑ 『哲宗實錄』 8년(1857) 8월 任子: 「大王大妃殿昇遐于養心閤」
- ↑ "서울 인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순원왕후신정왕후존숭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순원왕후상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순원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서울 인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순조실록』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문헌과 해석』 56, 태학사, 2011.
- 김세은, 「19세기 전반기 국왕의 가례(嘉禮)와 그 특징」, 『朝鮮時代史學報』 47, 조선시대사학회, 2008.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이기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수렴청정과 정치적 지향」, 『국제어문』 47, 국제어문학회, 2009.
- 이기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일상과 가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 임혜련, 「19세기 國婚과 安東 金門 家勢」, 『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 임혜련, 「조선시대 수렴청정(垂簾聽政)의 정비과정」, 『朝鮮時代史學報』 27, 조선시대사학회, 2003.
- 임혜련, 「朝鮮後期 憲宗代 純元王后의 垂簾聽政」, 『한국인물사연구』 3, 한국인물사연구소, 2005.
- 임혜련, 「철종대 정국과 권력 집중 양상」, 『한국사학보』 49, 고려사학회, 2012.
- 임혜련, 「哲宗初 純元王后 垂簾聽政期의 官人 임용 양상과 權力關係」, 『史學硏究』 110, 한국사학회, 2013.
- 지두환, 『순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