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상원사
평창 상원사 (上院寺) |
|
대표명칭 | 평창 상원사 |
---|---|
한자표기 | 上院寺 |
영문명칭 | Sang-won-sa |
유형 | 유적 |
관련인물 | 세조, 신미 |
|
정의
평창 상원사는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절이다.
내용
역사
상원사는 현재 월정사의 말사로 있으나, 국내에서 유일하게 문수보살상을 모시고 있는 문수신앙의 중심지이다. 기록에 의하면 보천, 효명 두 신라 왕자가 중대 지로봉에서 1만 문수보살을 친견하였다고 하며, 왕위에 오른 효명태자(성덕왕)가 재위 4년 만인 705년 지금의 상원사터에 진여원(眞如院)을 창건함과 동시에 문수보살상을 봉안하였고, 이어 725년 동종을 주조하였다.조선의 7대 임금인 세조가 이곳에서 기도하던 중 문수보살을 만나 불치의 병을 고쳤다는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다. 세조는 친히 권선문을 작성하고 진여원을 확장하였으며, 이름을 ‘상원사’(上院寺)라 바꾸고 원찰(願刹)로 정하여 문수동자상을 봉안했다. 이후 몇 차례 중창되다가 1907년 수월화상이 방장으로 있을 때 크게 선풍을 떨쳤으며, 1951년 입적한 방한암 스님이 30여 년 동안 이곳에서 지냈다. 방한암스님이 한국전쟁 때 병화로부터 상원사를 지켜낸 일화 또한 매우 유명하다.[1]
세조와 상원사
조선시대는 척불정책 속에 전국의 사찰이 황폐화되었으나 이 절은 오히려 더욱 발전하였다. 척불정책의 대표적인 왕이었던 태종마저도 1401년(태종 1) 봄 상원사의 사자암을 중건할 것을 권근(權近)에게 명하여 불상을 봉안하고, 스님들의 거처로 사용할 3칸 집과 2칸의 목욕소를 짓게 하였다. 또한 이 절은 세조가 문수동자(文殊童子)를 만나 괴질(怪疾)을 치료받고, 고양이에 의해 자객의 습격을 피하는 등의 일화가 서려 있는 세조의 원찰(願刹,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거나 자신의 소원을 빌기위해 건립한 사찰)이기도 하다. 이러한 깊은 인연 속에서 세조는 (信眉)와 학열(學悅)의 권유로 상원사를 중창하였다. 현존하는 상원사 경내 유물은 대부분 이 때 만들어졌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평창 상원사 | 권근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평창 상원사 | 세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평창 상원사 | 신미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평창 상원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세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705년 | 성덕왕이 지금의 상원사 터에 진여원을 창건하였다 |
725년 | 평창 상원사의 동종을 주조하였다 |
1401년 | 태조가 상원사의 중건을 명령하였다 |
1466년 | 신미 등의 권유로 조선 세조가 평창 상원사를 중건하였다 |
주석
- ↑ 상원사 박종철,『답사여행의 길잡이』 3 동해ㆍ설악, 돌베개, 1994, 네이버 지식백과 제공, 2017년 4월 5일 확인,
- ↑ 상원사(上院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7년 4월 5일 확인, 발췌 및 인용.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식봉, 「上院寺 〈御牒〉 및 〈重創 勸善文〉의 국어사적 고찰」, 『한국어문학연구』 31권, 동악어문학회, 1996.
- 김무봉,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와 연구」, 『불교학연구』 제 30호, 2011.
유용한 정보
- 최민정, "상원사중창기(上元寺重創記), 상원사를 다시 짓다", 『문화유산채널』online,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2년 1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