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증보삼략직해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6일 (목) 03:56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신간증보삼략직해_02.jpg |대표명칭= 신간증보삼략직해 |한자명칭= 新刊增補三略直解 |로마자명칭= Singanjeungbo sa...)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간증보삼략직해
한글팀 신간증보삼략직해 02 표지.jpg
한자명칭 新刊增補三略直解
영문명칭 A Korean annotation of a military strategy book
작자 유인
작성시기 1805년(순조5)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290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31.7×20.2㎝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명나라 유인이 지은 『삼략직해』를 언해한 병법서

텍스트

명나라 유인劉寅이 지은 『삼략직해三略直解』를 언해한 병법서兵法書이다. 『삼략직해』는 황석공黃石公이 장자방張子房에게 전수한 ‘삼략’을 유인이 풀이한 책이다. 현재 전하는 언해본의 최고본最古本은 ‘상지오년을 축중하경성광통방중간上之五年乙丑仲夏京城廣通坊重刊’이라는 간기가 있는 책이다. 이 간기의 ‘중간’이란 한문본 간행을 원간으로 보고 붙였을 가능성이 많다. 이 책은 앞에 유인의 원서原序가 있고, 이어서 열사석의閱史釋義 및 증보범례增補凡例가 있다. 그 뒤에 본문이 시작되는데 한문 원문에는 한글 토가 달려 있다. 언해문은 쌍행雙行으로 되어 있으며, 난상欄上에는 한문으로 주석을 달아놓았다. 그리고 끝에 협음叶音이 달려 있다. 서문에서 ‘삼략三略’을 설명하기를 삼三은 상, 중, 하3권을 말하고, 략略은 모략謀略을 말한다고 하였다.‘열사석의’에서 죄를 성토하여 치는 것을 벌伐, 두 병사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전戰, 그 나라의 수도로 나아가는 것을 입入, 그 조정과 시장을 옮기는것을 천遷이라고 하는 등 용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1805년순조5 판본과 그 이후의 판본은 언해문의 한글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대본들은 '증보범례'의 내용도 다르다. 한글 표기는 1805년 판본이 후대본에 비해 정제된 모습을 보여주어, 한글 표기의 변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신간증보삼략직해 인물 유인
신간증보삼략직해 개념 삼략직해
신간증보삼략직해 인물 순조
신간증보삼략직해 인물 황석공
신간증보삼략직해 인물 장자방
신간증보삼략직해 개념 삼략
신간증보삼략직해 개념 상지오년을축중하경성광통방중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신간증보삼략직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신간증보삼략직해 간행년 1805년(순조5)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