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왕의 조복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1일 (월) 01:2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의 조복
(王의 朝服)
대표명칭 왕의 조복
한자표기 王의 朝服
이칭별칭 원유관복(遠遊冠服)
분류 예복
착용신분
착용성별 남성



정의

의 조복(朝服)은 '원유관복(遠遊冠服)' 일습이다. 원유관복은 조선시대 왕이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이다. 머리에 쓰는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줄인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이 쓰는 것은 양이 9줄이다.[1]

내용

복식구성

원유관(遠遊冠), 강사포(絳紗袍),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왕의 조복 A는 B를 착용한다.
국조오례의서례 왕의 조복 A는 B를 기록한다.
왕의 조복 원유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강사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강사포 하상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중단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폐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후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패옥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대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적말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적석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왕의 조복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한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2. 국립고궁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經國大典』
  • 『大韓禮典』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