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명전익일회작의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3일 (수) 15:35 판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4_중박.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통명전익일회작의 |한자표기= 通明殿翌...)
통명전익일회작의 (通明殿翌日會酌儀) |
|
대표명칭 | 통명전익일회작의 |
---|---|
한자표기 | 通明殿翌日會酌儀 |
유형 | 의례 |
관련개념 | 길례(연향례) |
정의
1848년 3월 19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베풀어진 연회를 그린 장면이다.[1]
내용
왕은 상복인 익선관에 곤룡포, 내명부와 외명부는 예복, 진찬소 당상은 흑단령을 입고 참여했다. 향령무,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포구락(抛毬樂), 춘앵전, 무고(舞鼓),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검기무(劍器舞), 선유락(船遊樂)의 8개의 정재가 행해졌다. 춘앵전은 처음 확인되는 자료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왕 | 통명전익일회작의 | A는 B에 참여하였다 |
내명부 | 통명전익일회작의 | A는 B에 참여하였다 |
외명부 | 통명전익일회작의 | A는 B에 참여하였다 |
연향례 | 통명전익일회작의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345~34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