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면복

Encyves Wiki
김미정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5일 (일) 16:1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면복(冕服)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면복(冕服)
이칭별칭 곤면복(袞冕服), 곤복(袞服)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정의

왕의 최고 등급의 예복으로, 제사를 지낼 때 착용하는 제복(祭服).

기원[1]

  • 주(周)나라 때 육면복의 체계적인 제도 완성
    • 육면복(六冕服) : 대구면(大裘冕), 곤면(袞冕), 별면(鷩冕), 취면(毳冕), 치면(希冕; 絺冕), 현면(玄冕)[2]
  • 혼란기인 전국시대 이래 파괴되었다가 정치적 전통성을 보장받기 위한 목적으로 후한(後漢)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 수(隋) → 당(唐) → 송(宋)에 이르기까지 육면복의 제도가 점차 복원됨.
  • 요(遼), 금(金), 원(元) 시대에는 육면복이 점차 곤면복 하나로 단일화되어 가며, 명(明)에 이르러 태조 주원장이 곤면복 한 가지만을 제도화하도록 명령하고 신하들의 면복 착용도 금지함.
  • 청(淸)나라에 이르러서는 더이상 면복을 사용하지 않게 됨.
  • 우리나라의 경우 면복이 전래된 명확한 기록은 없음.
    •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명칭이 보여 삼국시대에 이미 들어왔던 것으로 추측됨.
    • 『고려사(高麗史)』에 송(宋), 요(遼), 금(金), 명(明) 등의 왕조에서 고려에 면복을 보낸 기록이 확인됨.
    • 『조선왕조실록』에 1402년(태종 2)에 처음 면복 전래 기록이 확인되며 명(明)이 멸망하는 인조 때까지 계속 전래됨.
    •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까지 명(明)에서 받은 면복을 참조하여 자체 제작하여 착용함.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내용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면복 관계 관련노드명
면복 관계 관련노드명
면복 관계 관련노드명
면복 관계 관련노드명
면복 관계 관련노드명

참고문헌

주석

  1.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13~16.
  2. 국제신문:황태현의 고전 속 성어 <484> 服周之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