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인천항제2도크
Encyves Wiki
인천항제2도크 | |
작가 | 박항섭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목차
정의
1966년 6월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에 완공된 인천항 제2도크 공사 장면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인천항은 조석간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다.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갑문이라 한다.[1] 인천항 도크는 갑문식 도크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세계 5위)이다. 이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189억원이 투자와 300만 명의 인부가 동원되었다. 인천항 제2도크의 완공으로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천항은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의 출입이 가능해졌다.
정창섭의 인천항 제2도크는 작품 오른편에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묘사되어 있는데, 실제로 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간만큼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고 한다.[2] 또한 오른편에는 크레인이 상공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철재 상판 위의 노동자가 묘사되어 있다.[3]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인천항이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인천항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정창섭이 정창섭-인천항제2도크를 그렸다 |
1883년 | 인천항이 개항하였다 |
1918년 | 인천항 제1도크가 준공되었다 |
1974년 | 인천항 제2도크가 준공되었다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63812 | 126.625059 | 인천항은 인천항 도크가 위치한 곳이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5]
영상
주석
- ↑ "갑문",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 두산백과. - ↑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87-88쪽.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 웹 자원
-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갑문",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 두산백과.
- "인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