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Encyves Wiki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
영문명칭 | Stupa of Buddhist Monk Jeunggak at Silsangsa Temple, Namwon |
한자 |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 |
이칭 |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實相寺 證覺大師 凝寥塔] |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남원 실상사 |
관리자 | 남원 실상사 |
크기 | 높이 2.42m |
건립시대 | 통일신라 |
관련승려 | 홍척 |
관련탑비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성리 남원 실상사(實相寺) 경내에 있는 통일 신라의 승려 홍척대사(洪陟大師)의 승탑.[1]
내용
신라 말 선종 산문의 하나인 실상산문(實相山門)을 세운 홍척(洪陟)의 유골을 모신 승탑이다.[2] 홍척의 입적 연대는 알 수 없지만 9세기 중반경으로 추정되며, 승탑 또한 이때를 즈음하여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홍척의 시호는 증각(證覺)이며, 탑명은 응료탑(凝寥塔)이다.[3] 실상사 서쪽에 있는 극락전의 왼쪽에 있으며, 그의 제자인 수철(秀澈)의 승탑은 극락전의 오른쪽에 서 있다.[4]
탑은 기단(基壇)은 팔각형의 석재를 여러층 쌓은 뒤 연꽃이 피어있는 모양의 돌을 올렸다. 각 면의 조각들은 닳아 없어져 거의 형체를 알아보기가 힘들고 윗받침돌의 연꽃잎만이 뚜렷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었는데 낮은 편이다. 몸돌은 기둥 모양을 새겨 모서리를 정하고 각 면에 아치형의 문을 새겼다. 그곳에 문을 지키고 있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돋을새김하였다. 지붕돌에는 목조건축의 처마선이 잘 묘사되어 있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홍척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남원 실상사 증각국사탑비 | 홍척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남원 실상사 증각국사탑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영상
- kculturechannel,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 YouTube, 게시일: 2012년 9월 20일.
주석
- ↑ 김정희,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진홍섭,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정희,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진홍섭,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증각대사탑", 문화재정보,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박경식, 『문화사학 1』, 한국문화사연구회, 1994.
- 박춘규, 『전통문화연구 2』, 조선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1992.
- 김정희,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홍섭,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증각대사탑", 뮨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