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옥인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3일 (월) 10:2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궁중의례물품정보

정의

국가·왕실 의례에서 사용된 옥으로 만든 도장이다.

내용

왕세자 이하를 책봉할 때 사용되었다.
왕·왕비·왕대비·대왕대비의 도장은 보(寶)라고 높여 부르고,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등의 도장은 인(印)이라고 불렀다.
은이나 옥으로 만들며, 은으로 만든 인은 은인(銀印)이라고 한다.
인은 상자에 3중으로 담겨 보관되었다. 가장 안쪽 상자를 인통(印筒), 보통을 담는 상자를 인록(印盝), 그리고 마지막 바깥 상자를 호갑(護匣)이라고 하였다.

관련항목

물품 → 물품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옥인 인통(印筒) A는 B에 담긴다
인통(印筒) 인록(印盝) A는 B에 담긴다
인록(印盝) 호갑(護匣) A는 B에 담긴다
옥인 옥인채여(玉印彩轝) A는 B로 운반된다

물품 → 의궤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옥인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690년
옥인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696년
옥인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25년
옥인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27년
옥인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84년

주석

  1.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2.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3.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下)』
  4.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
  5.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박봉주, "옥인(玉印)",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민아, "옥인(玉印)",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성인근, "옥인(玉印)",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옥인(玉印)",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