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휘
Encyves Wiki
현휘(玄暉) | |
대표명칭 | 현휘 |
---|---|
영문명칭 | Hyeonhwi |
한자 | 玄暉 |
생몰년 | 879(헌강왕 5)-941(태조 24) |
시호 | 법경(法鏡) |
탑호 | 자등(慈燈) |
성씨 | 이씨(李氏) |
본관 | 남원(南原) |
승탑비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목차
정의
고려 전기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당나라 출신 귀화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덕순(李德順), 어머니는 부씨(傅氏)이다. 879년(헌강왕 5) 현 전라북도 남원에서 육두품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 충주문화대전
유년기
나면서부터 거룩한 자태가 있고 보통 아이들 놀음은 전연 안하고 모래 위에 돌을 모아 불탑을 쌓아 올리는 놀이를 즐겨 하였다. - 인명사전
13개월 동안 모태 중에 있다가 건부(乾符) 6년[1] 1월 1일 오시(午時)에 탄생하였다. 스님은 선천적으로 성자(聖姿)를 지니고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아이들이 하는 장난은 하지 않았다. 불상이나 어른을 보면 합장(合掌)하고, 앉을 때는 가부좌(跏趺坐)를 맺고 앉으며, 땅과 담벽 등에는 불상(佛像)과 탑형(塔形)을 그렸다. 고기에 물을 먹여 살리고 벌레들에게는 먹이를 주어 구제하기도 하였다. | ||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30쪽. |
출가수행
어려서 영동군 영각산사의 심광대사에게서 불법을 배운 뒤 무염화상의 문하에서 선법을 공부했다. - 충주문화대전
898년(효공왕 2) 해인사에서 구족계(승려의 계율)를 받았다. - 충주문화대전
한 번은 그가 10여 명과 함께 난리를 피하여 무주에 이르렀는데, 도둑떼의 습격을 받아 함께 간 동행이 차례로 죽었다. 그의 차례가 되었는데도 죽음 앞에서 얼굴빛이 태연하고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자, 도둑의 우두머리가 칼을 던지고 엎드려 절하면서 그를 스승으로 섬기기를 자원하였다고 한다. - 남원문화대전
구법유학
906년 당나라에 가서 구봉산(九峰山)도건(道乾)의 문하에서 입실참선(入室參禪)하며 머무른 지 10여 일 만에 심요(心要)를 받았다. - 민백 907년(효공왕 11) 그는 당나라로 가서 구봉산(九峰山)의 도건(道乾)을 만나고 입실을 허락받아 참선을 시작했다.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심요(心要)를 전해 받았다고 한다. 그 뒤 10여 년 동안 중국을 돌면서 성지들을 참배하고 선지식을 찾아보았다. - 남원문화대전
그 후 스님은 “내가 여기에 머물게 되면 앞으로 나아갈 길이 막혀 버리리라”하시고, 천우(天祐) 3년[2] 해안(海岸)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우연히 당(唐)나라로 가는 배를 만나 편승(便乘)을 간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목적지인 피안(彼岸)에 도달하여 이리 저리 서상(西上)하다가, 길을 동양(東陽)으로 돌려 팽택(彭澤)을 지나 드디어 구봉산(九峯山)에 이르러 경건한 마음으로 도건대사[道乾(도건:道虔)大師]를 친견하게 되었다. 마침 대사(大師)가 뜰에 서 있었으니 절을 하고 엎드려 미처 일어나지 못하고 있을 때, 대사(大師)가 스님을 보고 “도리(闍梨)는 머리가 희구려”하거늘, 스님이 대답하되 “현휘(玄暉)는 아무리 보아도 저 자신을 알 수 없나이다”하니, 다시 “무엇을 알지 못한다는 말인가”하였다. 대답하되 “저의 머리가 희다고 하신 말씀의 뜻입니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추억을 더듬어보니 너와 이별한 지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지금 여기서 다시 만나게 되었구나”하였다. 기꺼운 바는 승당(昇堂)하여 대사(大師)의 오묘한 경지(境地)를 보고 입실(入室)해서 참선(參禪)토록 하였는데, 겨우 10일이 되자마자 심요(心要)를 전해 받아 묵묵히 서로 계합(契合)하였다. | ||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35-236쪽. |
귀국 및 활동
입적
출처: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쪽. |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 강정만, "현휘",
『디지털남원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두진, 「나말여초의 선종산문과 그 사상의 변화」, 『신라문화』Vol.27, 2006, 111-131쪽.
- 김상현, "현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 이인재, 「충주 정토사 현휘와 영월 흥녕사 절중 - 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93-321쪽.
- 이지관,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 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210-248쪽.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현휘",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최규성, "법경대사",
『디지털충주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