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
Encyves Wiki
일연(一然) | |
대표명칭 | 일연 |
---|---|
한자 | 一然 |
생몰년 | 1206년(희종 2)-1289년(충렬왕 15) |
시호 | 보각(普覺) |
호 | 무극(無極), 목암(睦庵) |
법호 | 견명(見明), 일연(一然) |
탑호 | 정조(靜照) |
자 | 회연(晦然), 일연(一然) |
성씨 | 김씨 |
본관 | 경주(慶州) |
출신지 | 경상북도 경산 |
승탑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승탑비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일연은 1206년(희종 2) 경주의 속현이었던 장산군(章山郡)에서 아버지 김언필(金彦弼)과 어머니 이씨(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1]
출가수행
1214년(고종 1) 해양(海陽)에 있던 무량사(無量寺)에서 학문을 익혔고, 1219년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대웅(大雄)의 제자가 되어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뒤, 여러 곳의 선문(禪門)을 방문하면서 수행하였다.[2]
활동
일연은 1227년(고종 14) 승과(僧科)의 선불장(選佛場)에 응시하여 장원에 급제하였다. 그 뒤 비슬산(琵瑟山)의 보당암(寶幢庵)에서 수년 동안 참선에 몰두하였다.[3]
정해년(丁亥年) 겨울 선불장(選佛場)에 나아가 상상과(上上科)로 합격하였다. 그 후 포산(包山) 보당암(寶幢庵)에 주석하면서 마음을 선관(禪觀)에 두었다. | ||
출처: 조명제, "인각사 보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제25권, 한국국학진흥원, 2014, 17쪽. |
일연은 1236년(고종 23) 몽고군의 침입을 피해 거처할 곳을 찾다가 무주암(無住庵)에 머물라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의 계시를 받고, 1237년 무주암으로 옮겼다. 거기서 '현상계(現象界)가 줄어들지도 않고 본체계(本體界)가 늘어나지도 않는다(生界不減 佛界不增)'는 말을 화두로 삼아 정진하다가 마침내 도를 깨달았다. 이 해에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고, 1246년(고종 33)에 선사(禪師)가 되었다.[4]
일연은 1249년(고종 36) 상국(相國) 정안(鄭晏)이 세운 남해 정림사(定林寺)의 주지로 취임하였는데, 그곳에 머물면서 남해의 분사대장도감(分司大藏都監) 작업에 약 3년 동안 참여하였다.[5][6]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이종문, "일연",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일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2월 21일. - ↑ 김상현, "일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2월 21일. - ↑ 이종문, "일연",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종문, "일연",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일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2월 21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