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
대표명칭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eung at Unmunsa Temple, Cheongdo |
한자 |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16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윤언이(尹彦伊) |
서자 | 탄연(坦然)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階書) |
승려 | 학일(學一) |
건립연대 | 1147년 |
|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雲門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원응국사 학일(圓應國師 學一, 1052-1144)의 탑비.
내용
개요
고려시대의 승려 원응국사 학일의 탑비로 높이는 230.3cm, 너비는 90.9cm이다.[1]
현재 비신을 받치는 부분인 귀부(龜趺)와 비신의 머릿돌인 이수(螭首)는 결실되었고,[2] 비신은 임진왜란 때 파손된 것을[3] 수리·복원하여 철 구조물 틀로 고정하였다.[4]
비신 상단에 "원응국사비명(圓應國師碑銘)"의 제액(題額)을 해서(楷書)로 양각하였으며, 제액 양 옆에는 각각 한 마리의 용을 새기고 제액과 용무늬 주변으로 보상화문(寶相華文)을 새겨 비신의 테두리를 둘렀다.[5]
건립 연대와 서자(書者)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는다.[6]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해동금석존고(海東金石存攷)』 등을 통해 탄연(坦然, 1070-1159) 스님이 글씨를 쓴 것으로 추정되며,[7] 원응국사가 입적한 다음 해 고려 인종이 국사(國師)로 봉하고, 윤언이(尹彦頤)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는 비문 내용으로 보아 건립 연대는 대략 1147년경으로 추정된다.[8][9][10]
1963년 보물 제316호로 지정되었으며,[11] 같은 해에 탑비의 보호각이 지어졌다.[12]
비문
비문의 내용은 선(禪)의 정법이 여래 이후 남종선(南宗禪)으로 이어지고 원응국사에게 계승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어 원응국사의 생애와 행적, 비를 건립하게 된 경위 등을 서술하고 있다. 원응국사는 대각국사에게 천태종(天台宗) 개창에 참여하기를 권유받았으나, 그것을 거절하고 선종(禪宗)의 독자성을 유지하였다. 1122년에는 고려 인종의 왕사(王師)로 책봉되었으며, 1144년에 운문사에서 입적한 후 국사(國師)로 추봉되었다.[13]
대각국사가 송(宋)에 유학하여 화엄의(華嚴義)를 전수받고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배웠다. 철종(哲宗) 원우(元祐) 원년(元年)[14] 병인(丙寅)에 돌아왔는데 지자(智者)[15]를 존숭하여 따로 종파를 세웠다. 이 때 총림(叢林)[16] 납자(衲子)[17] 가운데 천태종에 경도된 자가 10에 6, 7이나 되었다. 국사는 조사의 도가 쇠락해진 것을 슬퍼하여, 확고하게 홀로 세우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았다. 대각국사가 사람을 보내 여러 차례 권유하였으나, 끝내 명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 ||
출처: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
뒷면에는 문도들의 법명이 나열되어 있다.[18]
운문사의 세 비각
운문사 범종루를 지나 경내로 들어서면 왼쪽에 세 개의 비각이 위치하고 있다. 세 비각 중 원응국사비는 가운데 있으며, 왼편에는 설송대사비, 오른편에는 운문사 중수기념비가 있다.[19]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학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147년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윤언이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탄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고려 인종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청도 운문사 | A는 B에 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신증동국여지승람』 | A는 B에 기록되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대동금석서』 | A는 B에 기록되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해동금석존고』 | A는 B에 기록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7-458쪽.
- ↑ "운문사 원응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5쪽.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4쪽.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8쪽.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7쪽.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1086년(선종 3년)이다.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천태종의 개조인 천태지의(天台智顗: 538-597)이다.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① 많은 수행승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 ② 전각(殿閣)·선원(禪院)·강원(講院)·율원(律院) 등을 두루 갖춘 큰 사찰.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총림",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납의(衲衣)를 입는 사람, 곧 중을 가리킴. 납의는 중이 입는 검은 옷을 말함.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납자",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8쪽.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5쪽.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2-29쪽.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7-458쪽.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5-2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운문사 원응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