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
작가 | 최대섭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정의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3시까지 4인을 기다리다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다.
해당 작품은 삼일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을 담고있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재현되어 있는데, 작품 정면에 앉아있는 손병희를 기준으로 시계 오른쪽 방향으로
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태화관으로, 지금의 종로구 인사동에 있던 요릿집으로 명월관의 분점격이었다.[1] 현재 태화관이 있던 자리에는 태화빌딩이 들어섰고,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1985년 作)[5]
관련 민족기록화
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민족대표 33인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태화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대섭 |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 | A는 B를 그렸다 | 1985년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 | 건국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 | 태화빌딩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태화관 | 태화빌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명월관 | 태화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민족대표 33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919년 3월 1일 15시-16시 |
독립선언식 | 태화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1919년 3월 1일 15시-16시 |
민족대표 33인 | 3·1독립선언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한용운 | 3·1독립선언서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919년 |
최남선 | 3·1독립선언서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919년 |
보성인쇄소 | 3·1독립선언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919년 |
길선주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손병희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권동진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오세창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임예환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나인협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홍기조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박준승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양한묵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권병덕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김완규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나용환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이종훈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홍병기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이종일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최린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이승훈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박희도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이갑성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오화영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최성모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이필주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김창준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신석구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박동완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신홍식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양전백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이명룡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한용운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백용성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김병조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정춘수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유여대 | 민족대료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최대섭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를 제작하였다. |
1985년 | 최대섭이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제작하였다. |
1919년 | 한용운은 3·1독립선언서를 저술하였다 |
1919년 | 최남선은 3·1독립선언서를 저술하였다 |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 독립선언식은 태화관에서 거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35383 | 127.2210151 | 독립기념관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을 소장하고 있다 |
37.5719465 | 126.9845616 | 태화빌딩은 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를 소장하고 있다 |
37.5405423 | 127.0725187 | 건국대학교 박물관은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소장하고 있다 |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주석
- ↑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