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Encyves Wiki
김사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6년 12월 27일 (화) 13:06 판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 = |이칭 = |지정번호...)
소개
고려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선각대사는 신라 말의 명승으로, 당나라에 건너가서 14년만에 돌아와 무위사에 8년간 머물렀다. 고려 태조 원년(918)에 54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편광영탑(遍光靈塔)’이라 하였다. [1]
이 비문은 946년(開運 3年)에 최언위(崔彦撝)가 왕명을 받아 짓고, 류훈진(柳勳律)이 썻다. 그러나 상고해 보면, 최언위는 944년 12월에 사망하였으니 비문을 짓기 2년 전에 이미 죽은 셈이다. 비문에 의하면 선각대사는 864년에 출생하고 917년에 54세로 입적하였는데, 다음 해인 918년에 시호와 탑호를 사하고 최언위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게 하였으나 비를 세우는 것이, 비문을 짓는 것 보다 28년 후에 해당하므로 아마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초기여서 미처 비를 세울 겨를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 된다.[2]
비문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 서비스를 참조해 주세요.
비문 내용에서 확인되는 지식노드
- 최언위(崔彦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지은 인물.
- 유훈율(柳勳律):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의 글씨를 쓴 인물.
- 취두(鷲頭): 인도에 있는 영취산(靈鷲山). 부처님께서 이 산중에서 많은 설법을 하였는데, 여기서는 인도를 지칭함.[3]
- 계족산(雞足山): 가섭존자의 열반처.[4]
- 축건(竺乾): 인도의 다른 이름. 천축(天竺)의 천과 서건(西乾)의 건을 합자한 것.[5]
- 최락권(崔樂權): 선각대사 형미의 아버지.[6]
-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禮濯): 선각대사 형미의 스승.[7]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체징이 수행하던 사찰.[8]
- 도의국사(道義國師):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승려. 우리 나라에 최초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전하였다. 성은 왕씨(王氏). 법호는 명적(明寂), 시호는 원적(元寂)이며 도의는 법명이다. 북한군(北漢郡) 출생.[9]
- 양양 진전사지(襄陽 陳田寺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설악산에 있었던 절.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효시가 되었던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초조(初祖) 도의국사(道義國師)가 창건한 사찰이다.[10]
- 김문윤(金文允):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각자한 인물.
- 최한규(崔奐規):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각자한 인물.
관련 지식정보 노드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를 주인공으로 하다 | 선각대사 형미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선각대사 형미의 행적을 담고 있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에 있다 | 강진 무위사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강진 무위사에 있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최언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언위가 작성하였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유훈율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유훈율이 글씨를 썼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김문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김문윤이 각자했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최한규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한규가 각자했다. |
각주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2016.12.22 확인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 ↑ 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807, 2016년 12월 22일 확인
- ↑ 진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862, 2016년 12월 2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