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사모

Encyves Wiki
Hyunseung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24일 (금) 22:5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모(紗帽)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사모(紗帽)
착용신분 궁중
착용성별 남성



정의

  • 사모(紗帽)는 고려 말부터 조선말까지 단령(團領)에 착용하던 관모이다.


기원

  • 검은 헝겊을 머리에 감싸는 모양에서 발전하여 시기에 따라 재료와 형태가 변화하였다.


내용

형태

  • 사모의 형태는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이층구조이다. 뒷면 아래쪽에 좌우 수평으로 뻗어 있는 뿔이 있다.[1]
  •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형태가 되었다. 머리에 쓰는 부분인 모체(帽體)의 높낮이 및 뿔의 폭과 길이도 시대에 따라 변하였다. 조선 중기에는 모체가 높고 뿔의 폭이 넓고 평직이었으며, 말기에는 모체가 다시 낮아지면서 뿔의 폭은 여전히 넓으나 길이는 짧아지고 앞으로 굽었다.[2]


착용신분

  • 영조대의 『속대전(續大典)』 에는 신하들 간의 품계에 따라 뿔의 무늬를 달리하여 사모를 구분했는데 당상 3품 이상은 무늬 있는 뿔인 문사각(紋紗角)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당하 3품 이하는 단사각(單紗角)을 쓰도록 규정하였다.[3] 당상관은 겹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를 만들고 당하관은 홑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유물

착용모습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노드 사모 A는 B를 보여준다
경국대전 사모 A는 B를 기록한다
속대전 사모 A는 B를 기록한다

복식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모 상복 A는 B의 부분이다
사모 시복 A는 B의 부분이다
사모 상례복 A는 B의 부분이다

인물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모 문무백관 A는 B를 착용한다

복식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모 노드 A는 B에서 제작한다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노드 사모 A는 B를 소장한다


참고문헌

주석

  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 2005, 39쪽.
  2. 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2006, 131쪽.
  3. 『續大典』,「禮典」, ‘儀章’ : “冠堂上三品以上烏紗帽紋紗角, 堂下三品以下烏紗帽單紗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