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
양양 선림원지 (襄陽 禪林院址) |
|
대표명칭 | 양양 선림원지 |
---|---|
한자 | 襄陽 禪林院址 |
주소 |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424 |
문화재 지정번호 | 강원기념물 제53호 |
문화재 지정일 | 1982년 11월 3일 |
관리자 | 양양군 |
건립시기 | 통일신라 |
창건자 | 홍각 |
경내문화재 | 양양 선림원지 승탑,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양양 선림원지 석등 |
|
정의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1]
개요
선림원은 9세기 초 순응법사에 의해 창건된 후 홍각선사(弘覺禪師)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문화재청
선림원을 창건한 순응법사는 누구인가? 순응법사는 언제 태어나고 어디에서 입적했는지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802년 해인사를 창건한 사람이다. 순응법사가 창건할 당시 선림원은 화엄종 사찰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경문왕 때 고승 홍각선사가 이 절로 옮겨왔고 헌강왕 때 홍각이 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선종 사찰로 전이해간 것으로 보인다. 홍각선사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진 것은 없으나
[네이버 지식백과] 아름다운 폐사지 선림원지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8 : 강원도, 2012. 10. 5., 다음생각)
1948년에는 신라 동종이 출토되기도 하였는데 이 종은 상원사 범종, 에밀레종과 함께 통일신라 범종을 대표하는 기념비적 유물이다. 월정사에 옮겨 보관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파편이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춘천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문화재청
1982년 11월 3일 강원도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다. 양양 진전사지와 더불어 한국 선종(禪宗)의 개화를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폐사지로 꼽힌다. 선림원은 804년(애장왕 5) 무렵 순응(順應)이 세운 절로 알려져 있다. 순응은 802년 해인사를 세운 승려로, 이로써 선림원이 신라 불교 최대 종파였던 화엄종에서 세운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선림원은 이후 9세기 중엽 홍각에 의해 대대적으로 중수되었는데, 홍각은 선종 승려로 선림원이 이때 선종 사찰로 전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화엄종 승려들이 대거 선종으로 이적한 사실을 입증해준다. 1985년 동국대학교 발굴조사단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900년 전후에 대홍수로 인한 산사태로 절터가 완전히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 있는 부도비와 석등, 삼층석탑 등은 1965년에 복원한 것이다.
가람배치
이 사찰의 가람배치는 3층석탑 뒤에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금당건물이 배치되었는데 주춧돌이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오른쪽에 금당과 잇대어 또 하나의 건물지가 있다.
서편 언덕 위에는 석등이 놓여 있고 석등 북쪽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지가 발굴되었는데, 이 옆에 홍각선사탑비(弘覺禪師塔碑, 보물 제446호)가 남아 있어서 조사당(祖師堂)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넓은 광장에는 승방 등 많은 건물지들이 확인되는데 이곳 입구에 중문(中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민백
이 절은 804년에 순응(順應)법사가 세운 것으로 보여진다. 월정사에 남아 있다가 한국전쟁 때 월정사와 함께 불타버린 범종이 1948년 바로 이 선림원터에서 출토되었는데, 그 범종에 804년 순응법사가 제작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선림원터에는 이 종을 돌볼 사람이 없었기에 월정사로 옮겨졌는데, 그만 변고를 만났던 것이다.
순응법사는 802년 해인사를 세운 인물이다. 그렇다면 선림원은 의상대사가 이끌던 신라 불교 최대의 종파 화엄종에서 지은 절이며, 9세기 중엽 홍각선사(절터에 남아 있는 부도비의 주인으로, 선사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종의 승려이다)가 대대적인 중수를 하면서 선종 사찰로 전향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불교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당시 화엄종 승려들이 대거 선종으로 이적한 사실을 말해주는, 그 최초의 사찰이라는 점에서 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선림원터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ㆍ설악, 초판 1994., 21쇄 2011., 돌베개)
역사
성주사(聖住寺)는 백제 때 오합사(烏合寺)로 불리다가 승려 낭혜가 오합사로 오면서 절이 크게 중창되었고 그에 따라 통일신라 문선왕 때에 성주사로 개칭된 것이다. 『숭암산 성주사 사적』(崇巖山 聖住寺 事蹟)에 따르면 오합사는 성주사의 전신인데 백제 법왕이 599년에 전쟁에서 죽은 병사들의 원혼을 위무하려는 뜻에서 세운 절이라고 한다. 따라서 오합사는 백제왕실에서 매우 중히 여긴 절이었던 듯하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 오합사는 백제 멸망과 관련된 불우한 이야기를 간직한 절이다. 『삼국사기』에는 의자왕 15년 5월에 “흰말이 북악에 있는 오합사에 들어가서 불우(佛宇)를 돌며 울다가 며칠 만에 죽었다”는 기록이 있고 『삼국유사』에도 의자왕 19년에 “오합사에 큰 붉은말이 있어 밤낮 여섯 시에 사원을 돌았다”고 쓰어 있다. 이미 1960년대에도 간간이 나오는 백제 기와조각들 때문에 오합사로 추정되어 왔으며 본격적인 발굴에서는 백제 시대 기와조각들이 더욱 많이 출토되었다.[4]
신라 말의 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이 낭혜를 기념하며 쓴 비가 바로 낭혜화상부도비(郞慧和尙浮屠碑)이다. 신라시대 부도비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이 부도비에는 최치원이 지은 5,000여 자의 글씨가 몸체에 새겨져 있다.[5]
명칭유래
무염국사(無染國師)가 이 절에 있었기에 그를 성인(聖人)으로 보고, 성인이 주석한 절이니 ‘성주사(聖住寺)’라 이름을 붙였으며 산도 마을도 그에 따라 이름이 바꼈다.[6]
동영상
- 박오덕, "[우리동네 TV 보령 성주사지]", YouTube, 게시일: 2016년 10월 5일. 2017년 4월 12일 확인.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599년 | 백제 법왕에 의해 오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
845년 | 낭혜가 오합사의 주지가 되어 크게 중창하였다. |
신라 문성왕 때 오합사에서 성주사로 개명되었다. | |
888년 | 낭혜가 성주사에서 입적하였다. |
임진왜란기 | 보령 성주사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다. |
1984년 | 사적 제 307호로 지정되었다. |
선림원은 9세기 초 순응법사에 의해 창건된 후 홍각선사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그리고 선림원지에는 일제강점기에 파괴되었다가 1965년에야 복원된 홍각선사부도비가 있다. 귀부와 이수만이 남았고 비신의 파편 일부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귀부의 높이는 73센티미터이고, 이수의 높이는 53.5센티미터다. 보물 제446호로 지정되었다.
선림원지삼층석탑은 다른 유물들과 마찬가지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65년에 복원한 것이다.
그 외에 886년경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홍각선사부도는 부도 중대석에 운룡문이 나타나는 최초의 작품으로, 크지도 작지도 않은 아름다움을 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응법사가 창건한 절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8 : 강원도, 2012. 10. 5., 다음생각)
이 절은 804년에 순응(順應)법사가 세운 것으로 보여진다. 월정사에 남아 있다가 한국전쟁 때 월정사와 함께 불타버린 범종이 1948년 바로 이 선림원터에서 출토되었는데, 그 범종에 804년 순응법사가 제작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선림원터에는 이 종을 돌볼 사람이 없었기에 월정사로 옮겨졌는데, 그만 변고를 만났던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선림원터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ㆍ설악, 초판 1994., 21쇄 2011., 돌베개)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석등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낭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치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인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낭혜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보령 성주사지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성주산문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성주산문 | 선종 | A는 B에 포함된다 |
김원은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보물 제446호의 비문을 지었다. 이 비는 886년(헌강왕12)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김원이 짓고 승려 운철이 왕희지의 글씨를 모아 새겼다고 한다.
주석
- ↑ "[양양 원림원지]", 문명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2012년 12월 12일. - ↑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성주사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 "성주사지",
『위키백과』online , 최종수정일:2016년 7월 26일.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성주사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성주사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성주사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