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7일 (월) 02:00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BHST Yeongoksa east stele.jpg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영문명칭 East Stele of Yeongoksa Temple, Gurye
한자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18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53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승려 미상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비.

내용

개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연곡사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3개의 승탑이 있다. [1]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연곡사 서 승탑(보물 제154호) 등의 문화재가 있는데,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은 동 승탑 앞쪽에 있고, 높이는 1.2m이다.[2]

비문을 새긴 비신(碑身)은 임진왜란 때 없어져서 이 비의 정확한 주인은 알 수 없다.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인 귀부(龜趺)와 용의 형체를 새겨 장식한 비석의 머릿돌인 이수(螭首)만 남아 있다.[3]

비석 받침돌은 네 다리를 사방으로 쭉 뻗고 엎드린 용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사실성이 떨어지며, 잘려진 것을 복구해 놓아 부자연스럽다. 용의 등에는 새 날개 모양의 무늬를 조각해 놓아 새로운 느낌이다. 등 중앙에 비를 끼우도록 마련된 비좌(碑座)[4]에는 구름무늬와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머릿돌은 용무늬를 생략하고 구름무늬만을 새겼으며, 꼭대기에는 불꽃에 휩싸인 구슬을 조각해 놓았다.[5] 용의 입에는 여의주가 물려있다.

규모면에서는 보다 작고 아담해지고, 양식적인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이 승탑비는 신라시대와는 다른 고려시대의 새로운 양식으로서 주목된다.[6]

이 비는 보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문

현재 이 비의 비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구례 연곡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3.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4. 비신(碑身)을 세우는 대좌(臺座). 또는 비신을 꽂아 세우기 위하여 홈을 판 자리
  5.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김창균,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