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황귀비홀기
책황귀비홀기 | |
한자명칭 | 冊封皇貴妃笏記 |
---|---|
영문명칭 | A process of installation of Concubine Sunbi Eom to Hwangguibi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903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2723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7.6×9.2cm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첩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1903년에 고종의 후궁 순비엄씨를 황귀비로 책봉하는 의례의 절차를 한글로 기록한 홀기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1903년에 고종황제의 후궁 순비 엄씨(淳妃 嚴氏, 1854~1911)를 황귀비로 책봉하는 의례의 절차를 한글로 기록한 홀기이다. 세로로 긴 형태의 첩장으로, 첩의 앞뒷면은 붉은색 비단으로 감싸고 흰색의 제첨을 붙여 한글로 『ᄎᆡᆨ황귀비홀긔』라고 명기하였다. 6절 12면으로 한 면에 4행이 보이도록 접었으며, 붉은 인찰선을 긋고 해당 내용을 격식에 맞춰 썼다. 엄씨는 1859년에 나인으로 입궁하여 내전 지밀상궁이 되었다. 1886년에 승은을 입었으나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에 의해 추방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 이후 다시 입궁한 뒤 1897년에 고종이 대한제국 황제로 즉위한 해에 영친왕(英親王)을 낳고 귀인(貴人)이 되었다. 1903년에는 황귀비(皇貴妃)에 책봉되고 금책문과 인장을 하사하는 책례를 거행함으로써 위의를 세웠다. 본 의례는 1903년 11월 7일에 경운궁 중화전에서 거행되었다. 『진봉황귀비의궤(進封皇貴妃儀軌)』에 따르면, 당시 의례는 고종이 황귀비 책봉을 선포하는 ‘책황귀비의(冊皇貴妃儀)’, 황귀비 엄씨가 책문과 인장을 하사받는 ‘황귀비수책의(皇貴妃受冊儀)’, 황귀비가 황제에게 인사를 올리는 ‘황귀비조현황제의(皇貴妃朝見皇帝儀)’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홀기의 주요 내용은, 종친 및 문무백관 앞에서 ‘순비 엄씨를 황귀비로 진봉한다’는 내용의 제서(制書)를 선포하는 절차, 정사 이승응(李昇應, 1836~1909)과 부사 이용식(李容植, 1838~?)이 각각 금책(金冊)과 금인(金印)을 넣은 책함(冊函)과 인록(印盝)을 받들고 내궁(內宮)으로 나아가는 의식 등이다. 당시 책문은 홍문관학사 김학진(金鶴鎭)이 찬진했는데, 그 내용은 탁본 『황귀비책봉문(皇貴妃冊封文)』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홀기
홀기는 의식에서 그 진행 순서를 적어 낭독하게 하는 기록이다. 크게는 국가의 종묘 의례에서부터 작게는 서원, 민가의 행사에까지 이용되었다. 홀기는 절차를 미리 의정해 그대로 시행함으로써 절차의 오류를 막고 시비의 근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2]
순헌황귀비 엄씨 책봉식
1897년 9월 17일 대한제국이 선포되었다. 대한제국 왕실이 황실로 격상되어, 천자(황제)의 격에 따라 예를 행할 수 있는 명분을 확보하게 되었다. 그 상징적인 것이 금책(金冊)이다. 대한제국 이전에는 잭봉이나 상호(上號:시호, 존호 등을 지어 올림) 의례에서 옥책(玉冊)이나 죽책(竹冊)만을 사용할 수 있었다. 대한제국이 선포된 이후 금책을 사용할 수 있는 명분을 갖게 되었고, 1897년 고종황제는 즉위와 함께 명성황후, 황태자 척(순종), 황태자비 민씨의 금책을 만들었다. 명성황후 사후 고종의 총애를 받은 귀인 엄씨는 영친왕을 낳은 뒤 1900년 순빈(淳嬪)으로 봉해진다. 그 이듬해에는 순비(淳妃)로 책봉된다. 순비 엄씨가 비의 자리에 올랐으나 명성황후 사망으로 비어 있는 황후의 자리를 대신하는 일은 신중하게 논의되었다. 그러던 중 1902년 9월 이건하 등이 중국 명나라에서 후궁 가운데 특별한 덕, 공로가 있거나 황자를 낳은 경우 '황귀비'로 책봉하고 금책과 금보를 제작한 사례가 있던 사실을 들어 순비 엄씨를 황귀비로 책봉할 것을 건의했다. 이 건의가 받아들여져 1903년 11월 7일 순비 엄씨는 순헌황귀비 엄씨로 책봉되었다. [3]
지식 관계망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책황귀비홀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후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경운궁 중화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후 | 조선 고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명성황후 민씨 | 조선 고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명성황후 민씨 | 을미사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고종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대한제국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미사변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후 | 영친왕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진봉황귀비의궤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귀비책봉문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건하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용식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승응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귀비책봉문 | 김학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황귀비책봉문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 | 덕수궁 중화전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책황귀비홀기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95년 | 명성황후가 죽은 을미사변이 일어났다 |
1897년 | 순헌황후가 영친왕을 낳았다 |
1903년 |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이 일어났다 |
1903년 | 책황귀비홀기가 저술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65758 | 126.974810 | 덕수궁 중화전에서 순헌황귀비 엄씨 황귀비책봉식이 시행되었다 |
37.39197 | 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책황귀비홀기를 소장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