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황사화쟁국사비부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4일 (목) 02:5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분황사화쟁국사비부
(芬皇寺和諍國師碑趺)
대표명칭 분황사화쟁국사비부
한자표기 芬皇寺和諍國師碑趺
시대 고려시대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
지정일 1979년 01월 25일
소장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3 분황사
관련인물 원효(元曉)
관련장소 경주 분황사(慶州 芬皇寺)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분황사(芬皇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 대좌.

내용

크기는 높이 60㎝, 가로 100㎝, 세로 40㎝이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되었고, 상대·중대·하대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1]

분황사(芬皇寺) 내의 우물 옆에 놓여 있는 것으로, 원효대사(元曉大師)를 기리는 비의 받침돌이다. 낮은 직육면체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네 모서리가 떨어져 나가 많이 훼손되었다. 윗면에는 비를 꽂아두기 위한 홈이 파 놓았고, 옆면에는 옅은 안상(眼象)을 새겼다.[2]

고려 명종 때에 한문준(韓文俊)이 건립한 화쟁국사비(和諍國師碑)가 세워진 경위는 원효대사를 위한 비석이나 시호(諡號)가 없음을 애석하게 여긴 왕이 ‘대성화쟁국사(大聖和諍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석을 세우도록 한 것이다.[3] 분황사에 비 받침돌의 비석인 화쟁국사비를 세웠다고 전해지지만, 오늘날에는 남아 있지 않다.[4]


Quote-left.png 8월 계사 조서(詔書)를 내려 말하기를,

"원효(元曉)와 의상(義相)은 동방의 성인(聖人)으로 비기(碑記)와 시호(諡號)가 없어 그 덕이 드러나지 않았다. 내가 이것을 깊이 슬퍼하여 원효는 대성화쟁국사(大聖和靜國師)로, 의상은 대성원교국사(大聖圓敎國師)로 추증하니 유사(有司)에서는 즉시 그들이 살던 곳에 비를 세우고 덕을 기록하여 무궁하게 전하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원효와 의상에게 비문과 시호를 추증하다", 고려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오랫동안 방치되어 오다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절 근처에서 발견하였고,[5] 이를 확인하는 '차신라화쟁국사지비적(此新羅和諍國師之碑蹟)'[6]이라는 글귀를 받침돌에 새겨두었다.[7]

지식관계망

  • 원효와 의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분황사화쟁국사비부 김정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황사화쟁국사비부 화쟁국사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쟁국사비 원효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화쟁국사비 한문준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주석

  1. 이강근, "분황사 화쟁국사 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원효", 『두산백과』online.
  5.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두산백과』online.
  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