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
Encyves Wiki
신숭겸(申崇謙) | |
대표명칭 | 신숭겸 |
---|---|
한자표기 | 申崇謙 |
생몰년 | ?-927년 |
본관 | 평산(平山) |
이칭 | 능산(能山) |
시호 | 장절(壯節) |
시대 | 신라시대 |
자녀 | 보장(甫藏) |
정의
고려 초의 무신.
내용
궁예(弓裔) 말년의 장수로서 배현경(裵玄慶)ㆍ홍유(洪儒)ㆍ복지겸(卜智謙) 등과 모의하여 왕건(王建)을 추대해서 고려 개국의 대업을 이루었다. 927년(태조 10) 신라를 도와 공산(公山)에서 견훤(甄萱)과의 전투 중 포위를 당하여 형세가 위태할 때 김낙(金樂)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하여 태조의 위급을 모면케 하였다. 태조는 그의 죽음을 슬퍼하여 숭겸의 아우 능길(能吉)과 아들 보(甫)로 원윤(元尹)을 삼고 지묘사(智妙寺)를 새로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1]
예종(睿宗)은 그와 김낙을 추도하여 『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었으며,[2] 994년에는(성종 13)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사 개국장절공(太師開國壯節公)으로 태묘(太廟)의 태조 사당에 배향(配享)되었다.[3]
강원도 춘천시에는 신숭겸의 묘역(신장절공묘역)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 묘역은 도굴을 염려해 시신은 하나인데 봉분은 세 개인 1기 3분의 특이한 형태를 보인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숭겸 | 고려 태조 | A는 B의 신하이다 | A ekc:hasSubject B |
도이장가 | 신숭겸 | A는 B를 언급한다 | A ekc:mentions B |
신숭겸 | 궁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숭겸 | 신장절공묘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신숭겸",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신숭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박한설, "신숭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장절공묘역",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더 읽을 거리
- 논문
- 문안식, 「신숭겸의 出自와 후삼국 통일 전쟁기의 활약」, 신라사학보 제36호, 신라사학회, 2016, 211~255쪽.
- 이해준, 「申崇謙의 願刹과 朝鮮時代 墳庵」, 인문과학연구 제42집, 인문과학연구, 2014, 249~2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