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1일 (토) 21:47 판 (지식 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선조(朝鮮 宣祖)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조선 선조
한자표기 朝鮮 宣祖
생몰년 1552년-1608년
본관 전주 이씨
이칭 이연(李?)
시호 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전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
출생지 한성 인달방
사망지 한성부 정릉동 행궁 정침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배우자 의인왕후 인목왕후
덕흥대원군
하동부대부인 정씨
자녀 광해군 임해군 영창대군
전임자 조선 명종
후임자 광해군
능묘 목릉


정의

1552년(명종 7)∼1608년(선조 41). 조선 제14대 왕.

내용

조선 선조의 가계와 즉위과정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다. 조선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 초(德興大院君 岧)의 셋째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이다.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고, 1567년 조선 명종이 후사없이 죽자 즉위하였다.[1]

선조의 즉위 전반기 활동

즉위 초년 훈구세력(勳舊勢力)을 물리치고 사림(士林)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이황(李滉)이이(李珥) 등을 극진한 예우로 대하였다. 그 밖에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에게 증직(贈職)하는 등 억울하게 화를 입은 사림들을 신원(伸寃)하여 민심을 수습하였다. 또한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尹任)·유관(柳灌) 등을 죽이고 이기(李芑)·윤원형(尹元衡) 등을 삭훈(削勳)하였다. 명에 윤근수 등을 사신으로 보내『대명회전(大明會典)』 등에 이성계(李成桂)가 고려의 권신(權臣) 이인임(李仁任)의 후예라는 그릇된 사실을 시정하도록 하였다.[2]

왜란과 조선 선조의 활동

임진왜란조선 선조의 활동

1592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서울도 위급하게 되자 수성(守城) 계획을 포기하고 개성으로 물러갔다가, 의주로 피난하는 한편, 고급사(告急使)를 명나라에 보내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와 아울러 세자 광해군(光海君)에게 분조(分朝)를 설치하게 하여 의병과 군량 확보에 열중하도록 하였다. 1593년 4월에 강화를 조건으로 한성에서 철수하여 남으로 퇴각하자, 이 해 10월 왕이 환도하였다. 다음 해 훈련도감을 설치, 군사 훈련을 강화시키고 투항해 온 왜군에게 조총(鳥銃) 쏘는 방법과 탄환 만드는 기술을 관군에게 가르치도록 하였다.[3]

정유재란조선 선조의 활동

1597년 명나라와 일본간에 진행되던 강화 회담이 깨지고 재차 왜군이 침입하자(丁酉再亂), 다시 명나라에 원병을 청하는 한편, 관군의 정비를 촉구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3궁(三宮)이 소진되고 귀중한 전적(典籍)을 보관한 춘추관(春秋館)이 불타 귀중 도서가 소실된 것을 애석해 하여 각처에 흩어져 있는 서적들을 거두어 모아 운각(芸閣 : 校書館)에 보관하도록 하였다.[4]

전쟁 후 복구 사업과 조선 선조의 활동

왜란이 끝난 뒤 1604년에 호성(扈聖)·선무(宣武)·청난(淸難) 등의 공신을 녹훈하여 전쟁의 마무리를 짓고 전후 복구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흉년이 거듭되고 동인·서인의 당쟁은 더욱 격심해져서 커다란 시련을 받았다. 더욱이 죽기 직전에 측근을 불러 적자 영창대군을 보필해달라고 유언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광해군의 즉위하였다.[5]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선조 덕흥대원군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하동부대부인 정씨 조선 선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의인왕후 조선 선조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인목왕후 조선 선조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조선 중종 덕흥대원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선조 사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림 이황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사림 이이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삼강행실 조선 선조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조선 선조 종계변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선조 동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선조 서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인 김효원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서인 심의겸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조선 선조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황윤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이순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정유재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선조 국문 유서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이여송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선조 국문 유서 조선 선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임진왜란 광해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선조 광해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선조 영창대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선조 목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67년 조선 선조가 재위에 올랐다
1575년 당쟁이 일어나 동인서인으로 붕당이 일어나다
1589년 종계변무가 마침내 해결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다
1608년 조선 선조붕어하여 목릉에 안장되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25657 127.133236 조선 선조가 여기에 안장되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경철, 「선조대 '동서분당' 전개의 초기 양상」, 『民族文化』43, 한성대학 민족문화연구소, 2014, 259-300쪽.
    • 이근호, 「선조의 광해군 양위 과정」, 『한국불교사연구』10,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141-166쪽.
    • 윤정, 「17세기 李舜臣 사적 정비와 宣祖대 역사의 재인식」, 『진단학보』125, 진단학회, 2015, 61-92쪽.
  • 웹자원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