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원권
Encyves Wiki
5천원권(五千원券) | |
대표명칭 | 5천원권 |
---|---|
한자표기 | 五千원券 |
영문명칭 | 5,000won note |
유형 | 화폐 |
시대 | 현대 |
관련인물 | 이이 |
관련단체 | 한국은행,한국조폐공사 |
관련물품 | 5만원권 |
관련유물유적 | 강릉 오죽헌 |
목차
정의
대한민국의 지폐.
내용
5천원권은 1962년 6월 단행된 제3차 통화조처에 따라 ‘원’화의 신권이 통용되면서[1] 1972년 처음 발행되었으며, 1977년 일랑 이종상이 그린 현재의 초상화로 변경되었다. 이종상은 5천원권 뿐 아니라 5만원권 앞면의 신사임당 초상화도 그렸다.
2006년 1월 2일 지폐 중 처음으로 신권이 발행되기 시작하였다.[2]
형태
5천원권 앞면의 그림은 율곡 이이 초상과 그가 태어난 강릉 오죽헌이다. 뒷면은 이이의 어머니이자 5만원권의 주인공 신사임당이 그린 초충도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5천원권 | 이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5천원권 | 강릉 오죽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5천원권 | 신사임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5천원권 | 한국은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5천원권 | 한국조폐공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5천원권 | 5만원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62년 6월 | 제3차 통화조처가 단행되었다. |
1972년 | 5천원권이 처음 발행되었다. |
1977년 | 5천원권 초상화가 이종상 작(作)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1월 2일 | 5천원권 신권 발행이 시작되었다. |
2007년 1월 22일 | 1만원권,1천원권 신권 발행이 시작되었다. |
2009년 6월 23일 | 5만원권이 발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779450 | 128.878161 | 강릉 오죽헌은 5천원권의 배경이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장상진, "화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이구, "한국조폐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9월 12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지폐",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지폐",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한국의 화폐",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김예나, "'동네의 사생활', 천원·오천원권 지폐에 담긴 인문학 이야기 공개",
『티브이데일리』online , 작성일: 2016년 12월 13일. - 박종분,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ㆍ설악』, 돌베개, 1994. 온라인 참조: "오죽헌",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설악,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8 : 강원도』,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율곡 이이가 태어난 곳",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8 : 강원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