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시강원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 |
대표명칭 | 세자시강원 |
---|---|
한자표기 | 世子侍講院 |
유형 | 제도, 관청 |
창립시대 | 조선 |
주요업무 | 세자 교육 |
정의
세자시강원은 태조 초에 설치된 세자관속(世子官屬)을 뒤에 개칭한 것으로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강의하며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내용
설립
일반적으로 조선초기에는 왕세자를 서연(書筵)에서 교육하였다. 서연은 왕세자를 가르치는 교육의 장소를 의미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왕세자에 대한 교육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서연을 담당하는 기관은 경연(經筵)과 같은 법제화된 기관이 아니라, 담당 관청이 따로 있었다. 태조는 이를 위해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하였다. 세자관속은 원래 세자에 대한 교육 뿐만 아니라 시위(侍衛) 등의 일도 담당하였는데 태종 대에 세자의 시위만을 전담하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를 별도로 설치하여 업무를 분리하였다. 서연 제도는 1456년에 집현전이 혁파되면서 크게 관제가 개편되었다. 이어서 서연을 담당하는 기구인 세자관속의 명칭도 1466년에 세자시강원으로 개칭되었다.[1]
특징
과거합격자가 아닌 유학(幼學)이라도 대신이 추천하면 자의에 임명될 수 있었다. 또한 정제두, 윤후, 송시열, 박문수, 설순, 허균, 김정희 등 시강원의 관리들은 학식으로 이름난 이들이 많다.[2]
지식 관계망
- 학석집 지식관계망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28/A12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세자관속 | 조선 태조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세자관속 | 세자시강원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세자익위사 | 세자시강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세자익위사 | 조선 태종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세자시강원 | 조선 세조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세자시강원 | 정제두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세자시강원 | 윤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세자시강원 | 송시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세자시강원 | 박문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세자시강원 | 설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세자시강원 | 허균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세자시강원 | 김정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조선 초기 | 조선 태조에 의해 세자관속이 설립되었다 |
조선 초기 | 조선 태종에 의해 세자익우사가 세자관속에서 분리되었다 |
1466년 | 조선 세조의 명으로 세자관속의 명칭이 세자시가원으로 변경되었다 |
주석
- ↑ "세자시강원", 조선왕조 아동교육,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온라인 참조: "세자시강원의 구성-정비과정", 문화원형백과,『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권연웅, 세자시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논문
- 육수화, 「선시대 왕세자의 교육기관」, 『敎育學硏究』 Vol.42, 한국교육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