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학회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일 (수) 00:51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글학회(한글學會)
"한글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대표명칭 한글학회
한자표기 한글學會
영문명칭 The Korean Language Society
이칭 조선어학회
유형 단체
소재지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58-14
창립자 주시경, 김정진 등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908년 08월 31일
웹사이트 www.hangeul.or.kr


정의

1908년 우리 말글의 연구와 통일 및 발전을 목적으로 창립된 학술단체. [1]

내용

성격

1908년 8월 31일 주시경과 김정진 등 당대의 지식인들이 우리 민족의 문맹을 깨치고 나라의 주권을 지키고자 세운 민족학회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학술단체이다.[2]

설립목적

창립 초기부터 한글학회의 활동은 우리 말글의 수호와 연구, 그리고 보급을 통한 민족의식의 고취에 목표를 두었다. 광복 후에는 한글문화와 국어학 발전 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꾸준히 정기간행물을 발간하여 한글문화를 보급하고, 국내외의 지회와 부설기관을 통해 우리 말글의 선양 사업을 펼치고 있다.[3]

연원 및 변천

1908년 8월 31일 주시경과 김정진 등이 창립한 '국어연구학회'를 모체로 한다. 1911년 9월 3일 '배달말글몯음'으로 이름을 바꾸고, 1913년 3월 23일 '한글모'로 바꾸어 1917년까지 활동하다가 4년 동안 활동이 중단되었다. 1921년 12월 3일 임경재, 최두선, 이승규 등이 모여 국어연구 및 국어운동단체인 '조선어연구회'로 이름을 고쳐 재건하였다. 10년 뒤인 1931년 1월 10일의 총회 결의에 따라 이름을 '조선어학회'로 고치고, 광복 뒤 1949년 9월 5일 정기총회에서 다시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4년 현재 정회원 660명, 준회원 90명, 그리고 일반회원 7,0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4]

사업

한글문화의 보급과 발전을 위하여 2000년부터 '외국인 한국어 발표 대회'와 '우리 말글 지킴이 위촉'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01년부터는 '아름다운 우리말 가게이름 선정', 2005년부터는 '휴대전화 쪽글(문자) 자랑', 2012년부터는 '한글 손글씨 공모전' 등과 같은 우리 말글 진흥 사업을 펼치고 있다. 정기간행물로 1932년 창간한 기관지『한글』은 2014년 7월까지 통권 304호가 발행되었으며, 또한 『문학 한글』·『교육 한글』·『한힌샘 주시경 연구』·『한글 새소식』 등을 꾸준히 펴내고 있다. 1972년부터 매월 발행한 『한글 새소식』은 말글 교양 잡지로서, 2014년 통권 500호를 발간하였다.

부속 지회와 기관

한글학회는 2014년 현재 부산·전북·대구·대전·인천·경남·전남·울산·진주와 충남-세종 지회 등 10개의 국내 지회와 일본 간사이, 중국 흑룡강, 중국 절강 지회 등 3개의 국외 지회를 두고 있고, 부설 기관으로 '한말글문화협회'와 '한글서체연구원'이 있다. 이들 지회와 부설기관을 통해 국어순화 경시 대회, 글짓기 대회, 한글 붓글씨 쓰기 대회,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 우리말과 우리글의 선양 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사회적 활동

2011년에는 서울시와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쉬운 행정용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2011년부터 한글날 공휴일 지정 청원운동을 주도적으로 펼쳐 그 뜻을 이루었다. 또한 2013년부터 국회기와 국회 휘장, 국회의원 배지 한글화 운동을 주도하여 관련 법안 통과를 이끌어 냈으며, '조선어학회 한말글 수호 기념탑' 건립을 청원하여 국비 지원이 확정되어 2014년 8월 29일 제막식을 개최하였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국어연구학회 배달말글몯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배달말글몯음 한글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글모 조선어연구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어연구회 조선어학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어학회 한글학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어학회 훈몽자회 A는 B에 의해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조선어학회 주시경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조선어학회 김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윤혜영, "예문관(藝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윤혜영, "예문관(藝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윤혜영, "예문관(藝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윤혜영, "예문관(藝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윤혜영, "예문관(藝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저서
    • 조선어학회 선열유족회, 『조선어학회 선열 추모 문집』, 한글학회, 2016.
    • 박용규, 『조선어학회 33인』, 역사공간, 2014.
    • 박용규, 『조선어학회 항일투쟁사』, 한글학회, 2012.
    • 정순기, 『조선어학회와 그 활동』, 한국문화사, 2001.
  • 논문
    • 장신, 「조선어학회 사건의 발단과 민족서사의 탄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한국사(II)전공, Vol.53 No.-, 2016, 109-140쪽.
    • 박용규, 「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 『선도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Vol.19 No.- , 2015, 45-78쪽.
    • 리의도, 「어문규범 갖추기에 쏟은 조선어학회의 노력」, 『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Vol.59 No.- , 2013, 137-185쪽.
    • 정재환, 「해방 후 조선어학회ㆍ한글학회 활동 연구(1945~1957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