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
Encyves Wiki
임영(林泳) | |
대표명칭 | 임영 |
---|---|
한자표기 | 林泳 |
생몰년 | 1649년-1696년 |
본관 | 나주(羅州) |
호 | 창계(滄溪) |
자 | 덕함(德涵)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창계집 |
대표직함 | 부제학 |
부 | 임일유(林一儒) |
모 | 임일유 처 임천 조씨 |
성격 | 문신 |
유형 | 인물 |
목차
정의
1649(인조 27)-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임영의 가계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덕함(德涵). 호는 창계(滄溪)이다. 아버지는 군수 일유(一儒)이며, 어머니는 조석형의 딸 임천조씨(林川趙氏)이다. 이단상(李端相)·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1]
임영의 행적
1665년 사마시에 장원하였고, 1671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호당(湖堂)에 뽑혀 사가독서하였다. 그 뒤 이조정랑·검상·부제학·대사헌·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694년(숙종 20)에 대사간·개성부유수 등을 역임, 이듬해 부제학으로 있을 때 병이 들어 약물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그 뒤 참판에까지 이르렀다.[2]
임영의 문학과 사상
뜻이 크고 박식하였으며, 소성(小成)에 만족하지 않고 천인성명설(天人性命說)을 깊이 연구하였다. 경전과 역사서에 두루 정통하였고, 제자백가의 글에도 밝았으며, 문장에도 뛰어났다. 뒤에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에게도 수학하여, 이기설(理氣說)에 있어서 이이(李珥)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는 찬성하고 기발이승설(氣發理乘說)에는 반대하였다. 나주의 창계서원(滄溪書院), 함평의 수산사(水山祠)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창계집』 27권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임일유 | 임영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석형의 딸 | 임영 | A는 B의 어머니이다 | A ekc:hasSon B |
이단상 | 임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박세채 | 임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송준길 | 임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송시열 | 임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기설 | 이기일원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이기설 | 기발이승설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이이 | 이기일원론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이기일원론 | 임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영이 막내동생에게 보낸 편지 | 임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창계집 | 임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49년 | 임영이 태어났다 |
1683년-1686년 | 임영은 막내 동생에게 편지를 보냈다 |
1696년 | 임영이 사망했다 |
1708년 | 임영이 저술한 창계집이 간행되었다 |
주석
- ↑ 조준하, "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준하, "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준하, "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원순, 「문학과 일상, 혹은 비일상 '창계(滄溪) 임영(林泳)의 <일록(日錄>에 나타난 독서 기록의 특징'」, 『漢文學論集』35, 2012, 37-58쪽.
- 이종범, 「滄溪 林泳의 學問과 政論」, 『한국인물역사연구』9, 2008, 183-218쪽.
- 오종일, 「창계(滄溪) 임영(林泳)의 학문과 성리설」, 『東洋哲學硏究』22, 2000, 115-135쪽.
- 웹자원
- 조준하, "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