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
한자명칭 | 休靜 眞影 |
---|---|
작가 | 미상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유형 | 진영 |
크기(세로×가로) | 138.8x93.3cm |
목차
정의
조선시대 고승인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두 점의 <휴정 진영>이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은 그 중 좀 더 고식의 화풍의 <휴정 진영>으로 화면 좌측에 ‘청허당휴정대사(淸虛堂休淨大師)’라는 표제가 있어 휴정을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원래 어느 사찰에 소장되어 있었는지는 현재 알 수 없다. 1796년의 하한연대를 지닌 동화사 계열의 담채로 표현되어 있어 제작시기는 18세기 초, 중반으로 추정된다.[1]
<휴정 진영>은 조선의 고승이자 임진왜란 때 승병들을 이끌고 나라를 지킨 서산대사를 그린 것으로 인물사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임진왜란 후 임난 삼화상(壬亂 三和尙)의 하나로 주로 사명당, 기허당과 함께 그려지던 청허당 휴정의 단독 진영으로서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휴정 진영>은 좌안칠분면의 등받이가 높은 의자에 앉아 가부좌를 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오른손에는 불자를 들고 있고 왼손은 자연스럽게 무릎위에 올려둔 모습이다. 회색의 승복에 적색의 가사와의 은은한 색조의 조화, 화려한 의자와 장식이 돋보일 수 있도록 배경은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갸름한 계란형의 얼굴에 작고 단아한 이목구비, 작고 붉은 입술 등은 청허당 휴정의 인자한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얼굴은 1796년의 하한연대를 지닌 동화사 사명대사 진영과 유사한 느낌으로 단아한 모습이다.[2]
이 진영에서 휴정대사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용맹한 승장의 면모보다는 손에 불자를 쥐고 의자에 고요히 앉은 고승으로서의 모습을 부드러운 색감으로 표현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휴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유정 진영(동화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좌안칠분면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불자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승복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가사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238510 | 126.9804700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10, 성보문화재연구원 , 1996.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영혼의 여정 : 조선시대 불교회화와의 만남』, 국립중앙박물관, 2003.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