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 초상(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
한자명칭 | 崔益鉉 肖像 |
---|---|
작가 | 채용신 |
제작시기 | 1911년 4월 |
소장처 | 화순 춘산영당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05.2x54.6cm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우국지사인 최익현(1833~1906)의 모습을 그린 어진.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최익현의 초상화는 여러 점이 전해오는데 그중 국립중앙박물관본, 충남 청양 모덕사본, 경기 포천 채산사본 등 채용신이 그린 것들이 유명하다. 그 외에 심의 초상화로 춘산영당본 등이 전한다.
화순 춘산영당의 <최익현 초상>은 채용신이 1911년 4월에 그린 작품으로, 순창에서 의병 활동을 하다가 최익현과 함께 잡혀간 12의사 중의 한사람인 문달환(文達煥)에게 그려준 것이다. 문달환이 1927년에 화순에 춘산영당을 짓고 초상을 봉안하였다. <최익현 초상>의 배접된 뒷면의 오른쪽 하단에 ‘신해하사월상한종이품행정산군수채용신사(辛亥夏四月上澣從二品行定山郡守蔡龍臣寫)’ 라는 묵서가 있어 1911년 4월에 채용신이 그렸음을 알 수 있다.[1]
춘산영당의 <최익현 초상>은 그 초상이 사후 최익현의 문도들에 의하여 제작되어 봉안되는 사례 중 하나로 주목된다. 뛰어난 초상화가였던 채용신이 그린 것으로 그 묘사와 필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최익현 초상>은 정면을 향하여 앉은 전신상이다. 심의를 입고 복건을 착용한 채 소매 깃에 감추어진 두 손을 무릎 위에 놓고 화문석위에 꿇어앉아 있다. 화면에는 화문석 이외에는 아무런 배경 묘사가 없고, 얼굴에 비해 신체를 크게 묘사하여 최익현의 몸체가 장대한 느낌을 준다.
복건을 높이 쓴 얼굴은 어두운 황색으로 처리하고, 눈이 퀭하게 들어간 모습은 병색이 완연하게 보여 대마도에서 단식을 하던 만년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익현의 눈매는 형형한 모습으로 강한 정신을 가진 지사의 모습을 잘 나타내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문달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익현 | 문달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화순 춘산영당 | 문달환 | A는 B가 건립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심의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복건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09년 | 최익현 초상(모덕사)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4460330 | 127.0085530 | 최익현 초상(모덕사)은 청양 모덕사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김진아, 『蔡龍臣筆 崔益鉉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1-32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조선미, "최익현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논문
- 김진아, 『蔡龍臣筆 崔益鉉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