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昌原 鳳林寺址 眞鏡大師塔碑) |
|
대표명칭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Jingyeong from Bongnimsa Temple Site, Changwon |
한자 | 昌原 鳳林寺址 眞鏡大師塔碑 |
이칭 | 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 |
주소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63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신라 경명왕 |
서자 | 비문: 행기(幸其), 제액: 최인연(崔仁渷) |
각자 | 성휴(性休)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심희(審希) |
건립연대 | 924년 |
승탑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봉림사지(鳳林寺址)에서 발견된 신라시대의 승려 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 855-923)의 탑비.
내용
개요
이 탑비는 봉림산문(鳳林山門)의 개조(開祖)[1]인 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를 기리기 위하여 924년(경명왕 8)에 건립되었다. 전체 높이 337㎝, 비신[2] 높이 171㎝, 너비 99㎝이다.[3]
세 조각 난 채 봉림사지(鳳林寺址)에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19년에 일본인들이 서울로 옮겨 접합한 뒤에 경복궁(景福宮) 뜰에 세웠으며,[4]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5]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을 보이는데, 비문이 새겨져 있는 비몸은 분실된 부분이 있어 옛 탁본을 참고로 복원해 놓았다.[6]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 실려 있는 전문(全文)은 파손 이전의 것으로 보인다.[7]
비문은 경명왕이 직접 지었으며, 글씨는 진경대사의 문하승(門下僧)인 행기(幸期)가 썼다. 글씨는 해서(楷書)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따랐다. '고진경대사비(故眞鏡大師碑)'라는 전액(篆額)은 최치원(崔致遠)의 사촌 동생인 최인연(崔仁渷, 일명 崔彦撝)이 썼다.[8]
1963년 보물 제363호로 지정되었다.[9]
비문
비문에는 진경대사(眞鏡大師)가 출가한 후 명산을 두루 다니면서 사람들로부터 공경을 받고 국왕들을 귀의시킨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923년 봉림사(鳳林寺) 선당(禪堂)[10]에서 입적하자, 왕이 '진경(眞鏡)'이라는 시호(諡號)와 '보월능공(寶月凌空)'이라는 탑명(塔名)을 내렸다고 한다.[11] 또한 이 비문은 신라 말 선종(禪宗) 사상사뿐만 아니라, 신라 말기의 왕실과 호족 및 선종 승려들의 관계를 알려주어 사회사 분야에서도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12]
비문 보러가기 |
• 하일식, 「봉림사 진경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52-6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
•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심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창원 봉림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경복궁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창원 봉림사지 | 창원 봉림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신라 경명왕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행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최인연 | A는 B가 제액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성휴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해동금석원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심희 | 창원 봉림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심희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창원 봉림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924년 | 심희의 탑비인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가 창원 봉림사에 건립됨. |
1919년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가 일본인들에 의해 서울로 옮겨짐. |
1963년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가 보물로 지정됨.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무슨 일을 처음으로 시작하여 그 일파의 원조가 된 사람, 개종조(開宗祖), 개산(開山) 조사(祖師)의 준말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김응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일식, 「봉림사 진경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5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봉림사 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응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좌선하는 집. 보통 절 안의 왼쪽에 있다
- ↑ 김응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일식, 「봉림사 진경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5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참고문헌
- 김응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일식, 「봉림사 진경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52-6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봉림사 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