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백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9일 (일) 14:4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시백(李時白)
국립중앙박물관(www.museum.go.kr/)
대표명칭 이시백
한자표기 李時白
생몰년 1581년-1660년
본관 연안(延安)
시호 충익(忠翼)
조암(釣巖)
돈시(敦詩)
시대 조선
대표직함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이조판서(吏曹判書)
배우자 윤진(尹軫)의 딸 남원 윤씨
좌찬성(左贊成) 이귀(李貴)
장민(張旻)의 딸 인동 장씨
자녀 동지중추부사 이흔(李忻), 상주목사 이한(李憪), 이열(李悅)
능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내용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웠으며, 이괄의 난 진압에도 참여하였다. 『소현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昭顯世子嬪宮魂宮都監儀軌)』 제조[1],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도제조를 역임하였다.

관직

김장생(金長生)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소학(小學)』 공부에 힘썼는데, 과거를 보지는 않았다. 인조반정 때 아버지 이귀(李貴)와 함께 반정을 주도하면서 정치에 들어섰다.[2] 인조반정의 공으로 정훈(正勳) 2등 공신에 책봉되었고[3], 이괄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연양군(延陽君)’에 봉해졌으며[4], 수원부사(水原府使)가 되었다.[5] 군사의 일에 재능이 있다는 평을 받아 국방을 의논할 때 적임자로 추천받고 수어사(守禦使)ㆍ남한산성(南漢山城) 호위대장(扈衛大將)ㆍ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병조판서(兵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국방에 관련된 논의에도 항상 참여하였다.[6] 인조의 신임이 매우 컸으며,[7] 정치적으로는 청서파(淸西派)로 분류되었다.[8] 효종 즉위 초에 외손 김세창(金世昌)김자점(金自點)의 역모에 연루되어 면직되었다가,[9] 다시 복직되었다.[10] 민생에 관심이 많아 김육(金堉)과 함께 대동법(大同法) 시행에도 힘썼으며,[11]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 여러 관직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이 되었다. 효종현종을 거쳐 계속 신임을 받았으며 예송논쟁(禮訟論爭)에서는 송시열(宋時烈) 등과 입장을 같이 하였다.[12]

사후

1660년(현종 1) 사망하였는데 당쟁이 치열한 시기였음에도 관직생활동안 청렴하고 충성심이 있었던 점은 반대파들에게도 인정받아 이시백의 사람됨을 알 수 있다.[13] 1681년(숙종 7) 효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14] 1674년(현종 15)에 ‘충익(忠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5]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 묘가 있다.[1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시백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이기 이시백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정화 이시백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귀 이시백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장민 이시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동 장씨 이시백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윤진 이시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시백 남원 윤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이시백 이흔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시백 이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시백 이열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시백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51년 이시백은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소현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2. 『國朝人物考』 卷60, 「癸亥擧義人」, <李時白>
  3. 『인조실록』 권3, 인조 1년(1623) 윤10월 18일(갑진), 정사훈(靖社勳)을 감정토록 명하여 1·2·3등 53명을 녹훈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인조실록』 권6, 인조 2년(1624) 6월 11일(계사), 이시백을 연양군으로 삼다. 정엽·최유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인조실록』 6권, 인조 2년 8월 24일 병오 4번째 기사, ‘김장생ㆍ유백증ㆍ정백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國朝人物考』 卷60, 「癸亥擧義人」, <李時白>
  7. 『인조실록』 권50, 인조 27년(1649) 3월 16일(을해), 상의 사후에라도 김자점ㆍ이시백을 예우하도록 세자에게 당부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지두환, 『조선시대 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45쪽.
  9. 『효종실록』 권2, 효종 즉위년(1649) 11월 7일(임술), 김상헌의 논핵으로 이조 판서 이시백을 사직시키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0. 『효종실록』 권3, 효종 1년(1650) 2월 8일(신묘), 이시백·정유성·이재·이홍연·조한영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1. 『효종실록』 권7, 효종 2년 7월 9일(갑신), 비변사에서 화폐 사용법과 삼남의 대동법 시행을 의논드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2. 『현종실록』 권1, 현종 즉위년(1659) 5월 5일(을축), 예조가 복제에 관해 주달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3. 『현종실록』 권2, 현종 1년(1660) 5월 2일(병진), 연양 부원군 이시백의 졸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4. 『숙종실록』 권12, 숙종 7년(1681) 7월 12일(계해), 승지 이동명이 고 상신 이시백과 증 영의정 송준길의 배향을 청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5. 『현종개수실록』 28권, 현종 15년 7월 11일 계유 3번째 기사, ‘고 영의정 이시백에게 시호 충익을 내리다.’
  16. "이시백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7. "이시백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인물고』
  • 『인조실록』
  • 『한국계행보』
  • 『현종실록』
  • 『효종실록』
  • 김용흠, 『조선후기 정치사 연구』 1, 혜안, 2006.
  • 이정철,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역사비평사, 2010.
  • 지두환, 『조선시대 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아카넷, 2003.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