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조년 초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4일 (금) 01:0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조년 초상
"이조년", 『위키백과』online.
한자명칭 李兆年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9세기 말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40×83㎝


정의

고려시대 문신인 이조년(1269∼1343)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조년 초상>은 성주 이씨 문중의 사당인 고흥 성산사에 전해오다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다른 성주 이씨 초상화 12점과 함께 기탁보관중이다.
고려 말 조선 초에는 대개 영당을 절에 두어 초상화를 봉안하였는데, <이조년 초상> 역시 부친인 이장경의 초상과 함께 고려 때에는 성주 선석사에 봉안되었다가 이후 성주 안봉사로 옮겨졌다. 화폭 상단에는 ‘성근익찬경절공신이자 중대광에 올랐으며 성산군으로 책록되고 시호가 문열공인 이조년의 초상화(誠勤翊賛勁節功臣重大匡星山君贈諡文烈公諱兆年眞)’라는 제문이 있다. 또한 1655년, 1714년, 1744년에 개모와 중모를 거듭했다고 적혀있다. 이처럼 여러 번 중모를 거듭했기 때문에 이 초상화에서 원화의 필법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이조년 초상>은 후대에 제작된 이모본이기는 하지만 고려말의 명신 초상화라는 인물사적 측면과 아울러, 원나라의 영향을 받았던 고려 말의 복식이 그대로 전해오는 한편 중모 당시의 시대색이 잘 혼융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1]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조년 초상>은 홍포직령을 입고 붉은 세조대(細條帶)를 두르고 교의에 앉아 있는 정면상에 가까운 전신상이다. 오른손은 무릎에 왼손은 의자 팔걸이에 기대고 있으며 양손이 표현되어 있다. 교의에 깔린 호피와 바닥의 채전은 이모할 때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얼굴표현은 가는 선으로 윤곽을 잡고 약간의 음영을 사용하였다. 머리카락과 수염 전체가 하얀 것이 특징적이며 전체적으로 강건하면서도 엄격했던 그의 성격을 느낄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조년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조년 초상 이조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조년 초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홍포직령 이조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세조대 이조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세기 말 이조년 초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이조년 초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29~131쪽.
  2. "이조년", 『위키백과』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용만, "성주이씨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7일.

더 읽을거리

  1. 논문
    • 윤진영, 「성주이씨 가문의 초상화 연구」, 『장서각』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